태영그룹이 890억원을 태영건설에 납입하는 기존 자구안 이행에 이어 추가 자구안 계획을 알리면서 채권단과의 협상 물꼬가 다시 트일 수 있게 됐다. 8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오전 열린 경제·금융·통화당국 간 협의체인 'F4 회의'에서 "태영건설이 기존의 4개 자구계획에 대해 이행 약속을 하는 등 일부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충분하고 구체적인 추가 자구안 제시 등을 통해 채권단의 신뢰를 얻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는 워크아웃 개시와 관련한 '기본 조건'일 뿐 사재 출연이나 지주사 지분 담보와 같은 구체적인 내용은 빠져 있어 워크아웃 개시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지금까지 제시된 자구안은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자금 890억원의 태영건설 지원 △에코비트 매각 추진 및 대금 지원 △블루원 지분 담보 제공 및 매각 추진 △평택싸이로 지분 담보 제공 등 네 가지다. 태영그룹은 이날 오전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대금의 잔여분 890억원을 태영건설에 입금하면서 자구안 일부를 이행했다. 나머지 3개 자구안도 이사회 의결을 통해 이행 확약을 하겠다는 의사를 채권단에 전달했다. 태영그룹의 갑작스러운 '태세 전환'은 대통령실까지 나서며 법정관리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사태가 악화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기존 자구안 이행과 더불어 구체적 내용을 담은 추가 자구안이 제출되면 태영건설에 대한 워크아웃 개시는 힘을 받을 전망이지만 추가 자구안 내용을 확인해야 하는 만큼 채권단의 워크아웃 동의 여부는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무산 가능성에 대비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 등 '플랜B'에 대한 검토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태영건설의 법정관리가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하고 투명하게 재매각 또는 분할 매각을 추진하는 것과 함께 분양 계약자와 협력업체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