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도별로는 지난 2021년 844건, 2022년 659건, 2023년 931건이었으며 월별 출동 건수는 1월이 1291건으로 절반 이상(53%)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12월(970건), 2월(173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12월은 한달간 총 519건 신고가 접수됐는데 이는 전년 12월보다 1.5배 많은 수치로 기록됐다.
고드름은 기온이 영상과 영하를 오르내리는 시기에 지붕 끝, 옥외 배관 등에서 많이 발생하며 낙하 시 강한 충격으로 인명 또는 재산 피해의 우려가 크다.
시 소방재난본부는 "지난해 연말부터 북극에서 내려온 찬 공기로 인한 한파가 지속되고 있다"며 "안전을 위해 건물 외부에 고드름 발생 여부를 꼭 확인하시고 높은 곳에 생긴 대형 고드름 등은 무리하게 제거하지 말고 119로 신고해 달라"고 시민들에게 당부했다.
아울러 시는 △취약계층 안전관리 및 시설 점검 △기상특보 발령 시 상황관리체계 가동 △한랭질환자 응급이송 한파 관련 안전조치도 올 겨울 546건 진행됐다고 밝혔다.
현진수 서울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장은 "강한 한파로 인해 안전사고 요인이 증가하는 만큼 시민 여러분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린다"며 "서울 소방은 신속한 출동태세 확립을 통해 겨울철 시민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