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우수 중소기업의 기술과 제품을 구매해 성장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기술마켓'을 통해 올해 공공기관의 기술 구매 실적을 5000억원 이상 규모로 확대한다.
기획재정부는 18일 기술마켓 운영기관(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공동으로 ‘중소기업 기술마켓」 정책 설명 및 구매상담회’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중소기업 기술마켓은 공공기관이 혁신 중소기업의 기술·제품을 심의·인증한 이후 구매를 통해 기술개발·정책금융·해외진출 등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을 통한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기술·제품 구매실적은 2020년 256억원에서 지난해 2206억원으로 10배 가까이 늘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김윤상 기재부 2차관은 축사를 통해 "기술마켓을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과 우수한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에 판로확대 등 기회의 사다리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 차관은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기술마켓을 통한 구매 실적을 작년 2206억원보다 2배 이상 증가한 5천억+α로 대폭 확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SOC·에너지·ICT 3개 분야로 분리 운영된 기술마켓 플랫폼을 '중소기업기술마켓'으로 통합하고 기술 등록을 위한 심사제도가 없는 공공기관이 기술마켓을 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적용 분야를 확대했다.
또 현재 62개 수준인 기술마켓 참여 공공기관을 늘리고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공기업도 기술마켓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정부는 공공기관 참여 유도를 위해 올해 경영평가 편람에 기술마켓 지원실적 지표를 구체화하고 배점규모를 상향 조정했다.
이날 행사에는 기술마켓 심의를 통해 인증을 받은 52개 우수 중소기업이 기업 홍보부스를 통해 공공기관 구매담당자 등을 상대로 약 420건의 구매 상담회를 가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