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 (2024년 1월 22일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낙규 기자
입력 2024-01-22 08: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 (2024년 1월 22일자)

금융권이 판매한 '홍콩 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상품' 관련 올 상반기 손실액이 6조원을 상회할 전망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서 판매된 홍콩 H지수 ELS 상품에서 올해(19일까지) 원금 손실이 2296억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5대 은행에서는 지난 8일부터 첫 원금 손실이 확정됐는데 11일 만에 손실액이 2000억원을 넘은 것이다. 해당 기간 만기가 도래한 원금은 약 4353억원으로 이 중 2057억원만 상환됐으며 전체 손실률은 52.8%(손실액 2296억원)로 집계됐다. 금융권은 해당 추세대로라면 올 1분기 손실률이 60% 수준까지 뛸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상반기 10조2000억원의 원금 만기가 집중되는 가운데, 해당 기간 손실 규모가 6조원을 상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아울러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홍콩 H지수 ELS 상품 판매 잔액은 총 19조3000억원(은행 15조9000억원, 증권 3조4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79.6%인 15조4000억원의 만기가 올해 중 도래하는데 △1분기 3조9000억원 △2분기 6조3000억원 등으로 상반기에 만기가 몰렸다. 이와 맞물려 대규모 분쟁도 급증할 전망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들어 12일까지 5대 은행에 관련 민원이 518건 제기됐다. 지난해 관련 민원이 총 892건인 것을 감안하면 올해는 불과 12일 만에 지난해 수치 절반을 뛰어넘은 것이다. 한편 당국은 8일부터 홍콩 H지수 ELS 최대 판매사인 KB국민은행, 한국투자증권 등을 시작으로 이달 중 12개 주요 판매사에 대한 현장검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예정이지만 해당 상품 투자자들에게 납득이 갈만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아무튼 금융당국은 피해자 구제, 손실 일부 보전, 투자자 교육 등 대책들을 통해 홍콩 H지수 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기 바란다.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1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2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3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2면
아주경제 23면
아주경제 23면
조선일보 1면
조선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중앙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동아일보 1면
매일경제 1면
매일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한국경제 1면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