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금융권에 따르면 ELS 투자 피해 사례의 공통점으로 은행이 고위험상품인 ELS를 안정적인 상품으로 소개했다는 점이 꼽힌다. 예컨대 60대 초반 A씨는 지난 2017년 정기예금에 가입하려고 은행을 찾았다가 처음 ELS에 가입했다. 이때 은행원은 '정기예금 대체상품'으로 ELS를 추천했고, 2021년 재가입 땐 위험성에 대한 안내도 없었다고 주장한다. 전형적인 불완전판매로 해석될 수 있는 사례다.
ELS는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에 연계된 파생상품으로, 손실이 발생했을 때 하한선이 없다. 이론상 원금손실률이 최대 100%에 달하는 초고위험 상품이다.
금소법은 이런 금융상품 판매 과정에서 소비자가 적합한 상품을 소개받고, 또 정확한 투자를 행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이를 위반한 금융사에게는 배상책임이 강제된다. 위 사례에서도 보면 은행은 적합한 상품을 권유해야 하는 금소법의 '적합성·적정성 원칙 및 설명의 의무'와 투자손실이 보전되는 것처럼 오인하지 않게 해야 하는 '허위·과장 광고 금지' 원칙을 무시했다.
금융사는 소비자 권익에 부응하는 상품을 만들고 판매하도록 유도해야 하는데, 금소법엔 이런 내용도 빠져 있다. 위법계약해지권과 청약철회권·분쟁조정제도 등의 소비자 권익 보호 조치가 금소법에 포함됐으나, 활용 사례는 극히 제한된다. 실제 분쟁조정 처리기간이 평균 416일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땐 현행 금융소비자 피해구제 방식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양정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금융사는 은행법과 금소법 등 관계법에 따라 국민과 소비자의 합리적 금융생활을 유도해야 한다"며 "(은행은) 소비자의 보호와 법적 책임 의무가 있는 공익적 조직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금융당국과 금융사는 책임 회피를 할 게 아니라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 대책,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은행이 내는 감독분담금으로 억대 연봉챙기는 고양이들이 생선가게 맡긴 은행을 거스르기 쉬울까요
제발 정신좀 차리세요
이번 홍콩els사태는 고위험상품 허가를 내주고 제대로 관리감독 못한 금감원의 책임이 가장 큽니다. 소비자보다 판매자의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두고 회의했다죠. 금소법은 왜 만들었습니까.그것도 형식적인 건가요. 소비자 보호보다 자기들 이익만 우선시한 당신들이 피해를 키웠습니다
2021년 1월 국민은행 ㄷㅎ지점에서 els가입체결당시 팀장의 육성으로 투자약관 설명해야 되는데, 안전하고 한번도 손실난적없다는 체면걸고 체결가입전 요식행위 절차인 비대면 영상으로 투자설명 듣고 이해하였다는 증거 파일로 금감원 민원처리로 종결하려는것은 명백한 위법이고 은행측의 일방적 주장을 결론으로 하는 금감원의 의도가 심히 의심됩니다. 분명히 금소법 위반이고 삼자대면 을 요청합니다.
한파에 피멍들은 피해자들은 하루가 고통의 연속입니다. 은행 팀장님의 회고록에 els상품은 은행에서 팔지말아야할 상품이라고 양심고백 한분도 있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