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25년 만에 일본에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한국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년 대비 1.4% 성장하는 데 그쳤다면서, 경제 구조상 과제가 드러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일본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을 2.0%로 전망한 바 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2년 연속 하락세다. 2021년 4.3%를 기록한 후 2022년 2.6%, 2023년 1.4%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2.1%로 추산했으나, 앞서 성장률을 세 차례 하향 조정하는 등 전망이 불투명하다.
니혼게이지아신문은 “지난해 한국 경제 침체의 주된 원인은 수출 산업의 부진”이라며 “최대 교역 상대국인 중국의 생산 활동 둔화로 한국의 중간재 수출이 부진했다”고 짚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PC의 수요 감소로 반도체 부문의 수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 대비 24% 줄었다. 석유화학과 철강은 각각 16%, 8% 감소했다.
수출주도형인 한국 경제는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각종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조선, 화학, 철강 등 한국의 주력 산업은 대중국 수출 증가 덕에 규모를 키웠다.
그러나 중국 제조업의 기술력 향상으로 철강, 조선, 디스플레이는 이미 중국 기업이 세계 선두에 섰다. 이 매체는 “향후 폭넓은 산업 분야에서 중국의 내재화가 진행되며 한국 산업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저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고금리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내수도 부진하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1875조원에 달한다.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다. 평균 대출금리는 5%를 웃돌아, 주담대 이자를 갚는 것만으로도 가계 살림이 빠듯하다. 지난해 민간 소비는 1.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일본을 다시 추월할 가능성이 크지만,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성 및 경쟁력 저하로 인해 한국 역시 저성장기에 진입했다는 관측이 강해지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