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김해소식]김해시 누리집에 '시민정책제안' 코너 신설 外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해=박연진 기자
입력 2024-01-26 17: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시민들 생생한 목소리 정책에 적극 반영

시민정책제안 코너는 오는 29일부터 시범 운영 후 2월 13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사진김해시
시민정책제안 코너는 오는 29일부터 시범 운영 후 2월 13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사진=김해시]
김해시가 시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시청 누리집 열린시장실에 ‘시민정책제안’ 코너를 신설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민정책제안 코너는 오는 29일부터 시범 운영 후 2월 13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제안 정책의 공감 횟수가 30일 이내 300건 이상이면 소관부서 검토 후 단기 간에 실행가능한 경우에는 정책에 즉시 반영하고, 중․장기적 제안이나 공감 횟수가 미달하더라도 우수한 제안은 온라인 설문조사나 정책공모전, 제안협의체에 안건으로 상정해 시민들의 의견을 다시 한번 묻고 정책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그동안 온라인 ‘시장에게 바란다’가 일상적인 불편 민원을 호소하는 역할에 그쳤다면 이제는 김해시의 미래를 그려나가는 건설적인 제안을 직접 할 수 있게 됐다.

‘시민정책제안’은 시 누리집 본인인증 후 작성 가능하며 본인이 직접 정책을 제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제안한 글에 댓글이나 공감 표시를 할 수 있어 실시간 온라인 정책소통방의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홍 시장은 “지금 김해시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시민들과 행정이 함께 고민하고 미래를 설계해 시민 한 분 한 분의 꿈이 이루어지는 행복도시 김해를 만들어 가고자 한다”면서 “실생활과 밀접한 다양하고 살아있는 정책들을 많이 제안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해시 고향사랑기부제 온라인 ‘명예의 전당’ 개설 
김해시는 2년째로 접어든 고향사랑기부제 ‘온라인 명예의 전당’을 개설했다.

 시는 고향사랑기부제 최고액 기부자 예우와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시 누리집에 고향사랑기부제 명예의 전당을 개설했다.

 시는 고향사랑 최고액 기부자들의 동의를 받아 이름, 소속, 금액 등을 게시하고 매 분기 또는 반기마다 명예의 전당을 업데이트한다. 

 또 건전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해 고향사랑기부자 행사 초청 등 예우 규정도 조례에 명시되어 있는 만큼 기부자 예우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계속 발굴한다.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매년 500만원까지 기부할 수 있고 기부 혜택으로 답례품(기부금 30%)과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시 관계자는 “고향사랑기부제 첫해부터 김해에 사랑을 전해주신 모든 기부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기부금은 김해시민의 복리 증진을 위해 사용한다”고 말했다.
김해시, 화포천 유역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시행계획 수립 
김해시는 화포천 유역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관리대책 시행계획을 수립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2021년 1월 화포천 유역(134.85㎢)에 대한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지정에 이은 2022년 12월 환경부의 관리대책 수립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이란 비점오염원(광범위한 곳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으로 인해 주민의 건강, 재산이나 자연생태계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환경부에서 지정, 관리대책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세부 시행계획을 지자체에서 수립해 시행함으로써 하천 수질을 개선하는 환경부 비점오염원 종합대책의 일환이다.

 화포천 유역은 농지에 살포된 농약, 비료 등 농업 비점오염원과 가축분뇨와 야적퇴비, 액비 등 축산계 비점오염원이 주 오염원으로서 국가 습지보호지역을 거쳐 낙동강 본류로 직접 유입되는 수계로 수질 개선의 시급성 있어 김해시에서 관리지역 지정을 신청해 환경부에서 지정했다. 

 화포천 유역의 관리 목표인 관리 유량 구간에서 총인(T-P) 부하량을 25% 이상 저감하기 위하여 △강우 시 수질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중점관리지역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마련 △지역 특성을 고려한 주민참여형 사업과 구조·비구조적 관리대책 마련을 핵심 추진 방향으로 시행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이용규 환경정책과장은 “시행계획이 수립되면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체계적인 저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국비 지원사업의 우선권과 국비 지원율이 50%에서 70%로 상향 등으로 하천 수질 개선이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