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지주계열 형님들이 먼저 나선다…저축은행업계, 건전성 관리 공동협약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민지 기자
입력 2024-01-31 13: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저축은행중앙회와 지주계열 저축은행 8개사(BNK·IBK·KB·NH·신한·우리금융·하나·한국투자)가 31일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상호간 협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중앙회는 정책·감독당국 등 관계기관과 '저축은행 연체채권 정리 관련 제도개선 TF'를 통해 저축은행 업계의 건전성 제고와 취약차주 상생 방안에 대해 논의해왔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지난해 12월부터 지주계열 저축은행과 협의체를 구성해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 논의를 거쳐 마련했다"면서 "중앙회와 지주계열 저축은행은 건전성관리 강화 방안을 충실하게 이행해 건전한 경영을 해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뒷줄 왼쪽부터 BNK저축은행 김영문 대표  IBK저축은행 김재홍대표 한국투자저축은행 전찬우 대표 KB저축은행 강화구 부사장대참  

              앞줄 왼쪽부터 NH저축은행 오세윤 대표 하나저축은행 정민식 대표 저축은행중앙회 오화경 회장 신한저축은행 이희수 대표 우리금융저축은행 전상욱 대표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김영문 BNK저축은행 대표 , 김재홍 IBK저축은행 대표, 전찬우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 강화구 KB저축은행 부사장, 전상욱 우리금융저축은행 대표,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 정민식 하나저축은행 대표, 오세윤 NH저축은행 대표. [사진=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 업계의 연체율이 6%에 달하며 부실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저축은행중앙회와 지주계열 저축은행 8개사(BNK·IBK·KB·NH·신한·우리금융·하나·한국투자)가 31일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상호간 협약을 체결했다.

저축은행중앙회와 저축은행 8개사는 채무조정 제도에 대한 대고객 홍보를 강화하고 취약차주 부담 완화를 위한 저축은행 자체 채무조정을 활성화한다. 현재 자체 채무조정을 통한 원금전액 상환 시 연체이자를 감면해주고 있는데 채무조정 신청시 기존에 발생한 정상이자와 연체이자를 모두 감면해주기로 했다.

부실 채권을 신속하게 정리하라는 금융 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 추정손실 채권을 1분기 내 상·매각하는 등 최대한 감축해 경영 안정성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를 위해 개인·기업 등 부문별 부실채권을 전담해 정리하는 체제를 마련한다. 연체율 관리에도 나선다. 회계법인 컨설팅을 통해 업계 경영 환경에 적합한 연체율 관리 산정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그동안 중앙회는 정책·감독당국 등 관계기관과 '저축은행 연체채권 정리 관련 제도개선 TF'를 통해 저축은행 업계의 건전성 제고와 취약차주 상생 방안에 대해 논의해왔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지난해 12월부터 지주계열 저축은행과 협의체를 구성해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 논의를 거쳐 마련했다"면서 "중앙회와 지주계열 저축은행은 건전성관리 강화 방안을 충실하게 이행해 건전한 경영을 해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