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정영환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이 3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공천관리위원회 3차회의에 참석하며 시간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1/31/20240131144041193020.jpg)
31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최근 원·내외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공천 검증 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다. 국민 눈높이에 맞춘 후보들을 선보여 총선에서 더 많은 의석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는 공천 검증 대상에 후보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도 포함시켰다. 후보자에게 결격 사유가 없었더라도, 그 가족이 입시·채용·국적·병역 비리를 저질러 형사 처벌을 받았다면 컷오프 시키겠다는 것이다.
특히 살인·강도 등 강력범죄를 비롯해 뇌물 범죄와 불법 정치자금 수수, 경선 금품 살포 등 부정행위로 집행유예 이상의 형을 받은 경우 사면·복권되더라도 공천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오는 3일 공천 신청자 접수를 마친 후 서류심사를 통해 부적격 기준에 해당하는 신청자를 먼저 걸러낸다.
이미지 확대
![임혁백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이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1/31/20240131144142147896.jpg)

거대 양당의 현역 컷오프 움직임이 구체화 되면서 정치권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자신의 컷오프에 불만을 가진 인사들이 현재 소속된 정당을 떠나 무소속이나 제3지대로 옮겨갈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수도권 재선 A의원은 "(컷오프 되는 의원들도) 정말 고민이 많을텐데, 무소속과 제3지대 합류 중에서 선택하라면 아마 제3지대로 갈 것 같다"고 전망했다. 선거 유불리를 떠나 만약 무소속으로 출마한다면 선거 후 복당을 해도 차기 총선이나 지방선거 출마에 '해당 행위'를 이유로 불이익을 받기 때문이다. 반면 제3지대에 합류한다면 '당 대 당' 합당 형식을 통해 별다른 불이익 없이 복당할 수 있다.
A의원은 "명분이 부족한 탈당과 복당을 통해 괜히 입지만 깎아 먹느니 이제 갓 시작한 제3지대에 합류하는 게 더 구미가 당길 수 있다"며 "지금 제3지대에 합류하면 개국공신 엇비슷한 대우는 받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다른 민주당 B의원은 "실제 탈당하고 옮겨갈 사람이 얼마나 될지는 의문"이라면서도 "만약 도덕적으로 크게 하자가 없는 인물이 간다면 제3지대도 기꺼워하긴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투표용지에서 저 아래쪽의 기호 6번, 7번보다 기호 3번으로 나오는 게 제3지대가 더 높은 표를 확보할 방법이다"고 강조했다.
총선 때 사용하는 정당 기호는 후보 등록 마감일인 3월 22일 기준 의석수에 따라 부여된다. 만약 여야 현역의원들이 탈당해 제3지대 정당에 합류할 경우 현재 6석의 정의당이 기호 3번을 빼앗길 수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