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국내 매출 10대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매출 비중은 5년 전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 이는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력 감소와 자국 기업 선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경제인협회는 국내 매출 10대 기업의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2018년과 2023년의 1∼3분기 해외 매출 비중을 분석한 결과를 4일 발표했다.
한경협이 분석한 매출 10대 기업에는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에쓰오일, LG전자, 포스코인터내셔널, 삼성물산, 현대제철, SK하이닉스가 포함됐다. 지난해 1∼3분기 10대 기업의 누적 매출액은 총 616조8326억원으로 이 중 해외 매출은 421조1122억원이다.
전체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68.3%로 5년 전인 2018년 1∼3분기에 비해 3.7%포인트 줄었다. 중국에서의 매출이 크게 감소했다. 국내 10대 기업의 대중국 매출은 2018년 1∼3분기 56조8503억원에서 지난해 1∼3분기 33조4640억원으로 5년 새 23조3863억원이나 줄었다.
이에 따라 대중국 1∼3분기 누적 매출 비중도 2018년 12%에서 5.4%로 6.6%포인트 줄었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지고 중국 기업의 기술력 향상에 따라 자국 시장 점유율이 확대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중국 내부에서 중간재 자급률이 높아지고 한·중 간 기술격차가 줄어들면서 과거 한국 제품의 주요 소비시장이었던 중국이 이제는 한국기업의 경쟁상대로 변모했다는 의미다.
중국 외 다른 국가에서 국내 10대 기업의 매출 규모는 증가했다. 지난해 1∼3분기 국내 10대 기업의 미주 지역 매출 비중은 31.7%로 5년 새 3.7%포인트 늘었다. 유럽 매출 비중은 14.8%로 2018년(15%) 대비 0.2%포인트 감소하며 보합세를 유지했다.
국내 대기업의 중국 매출 감소는 대중국 수출 감소와도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지난해 연간 기준 대중국 수출액은 124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9.9% 감소했다. 5년 전인 2018년과 대비해서도 23%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대중국 무역수지는 180억 달러 적자로 1992년 이후 31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대중국 매출 감소는 비단 국내기업만의 문제는 아니다. 아이폰의 제조업체이자 삼성전자의 가장 큰 라이벌인 애플은 지난 1일(현지시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대중국 매출이 20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9%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애플의 실적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지역은 중국이 유일했다. 이 역시 중국 경기 둔화에 따른 소비 위축, 미·중 갈등 장기화에 따른 중국의 기술 통제 및 자급화가 원인이다.
한경협 관계자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경기침체로 올해 수출 규모가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기업을 포함한 국내 기업들이 수출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국내 매출 10대 기업의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2018년과 2023년의 1∼3분기 해외 매출 비중을 분석한 결과를 4일 발표했다.
한경협이 분석한 매출 10대 기업에는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에쓰오일, LG전자, 포스코인터내셔널, 삼성물산, 현대제철, SK하이닉스가 포함됐다. 지난해 1∼3분기 10대 기업의 누적 매출액은 총 616조8326억원으로 이 중 해외 매출은 421조1122억원이다.
전체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68.3%로 5년 전인 2018년 1∼3분기에 비해 3.7%포인트 줄었다. 중국에서의 매출이 크게 감소했다. 국내 10대 기업의 대중국 매출은 2018년 1∼3분기 56조8503억원에서 지난해 1∼3분기 33조4640억원으로 5년 새 23조3863억원이나 줄었다.
중국 내부에서 중간재 자급률이 높아지고 한·중 간 기술격차가 줄어들면서 과거 한국 제품의 주요 소비시장이었던 중국이 이제는 한국기업의 경쟁상대로 변모했다는 의미다.
중국 외 다른 국가에서 국내 10대 기업의 매출 규모는 증가했다. 지난해 1∼3분기 국내 10대 기업의 미주 지역 매출 비중은 31.7%로 5년 새 3.7%포인트 늘었다. 유럽 매출 비중은 14.8%로 2018년(15%) 대비 0.2%포인트 감소하며 보합세를 유지했다.
국내 대기업의 중국 매출 감소는 대중국 수출 감소와도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지난해 연간 기준 대중국 수출액은 124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9.9% 감소했다. 5년 전인 2018년과 대비해서도 23%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대중국 무역수지는 180억 달러 적자로 1992년 이후 31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대중국 매출 감소는 비단 국내기업만의 문제는 아니다. 아이폰의 제조업체이자 삼성전자의 가장 큰 라이벌인 애플은 지난 1일(현지시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대중국 매출이 20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9%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애플의 실적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지역은 중국이 유일했다. 이 역시 중국 경기 둔화에 따른 소비 위축, 미·중 갈등 장기화에 따른 중국의 기술 통제 및 자급화가 원인이다.
한경협 관계자는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경기침체로 올해 수출 규모가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기업을 포함한 국내 기업들이 수출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