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75741696159.jpg)
![아주경제 2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75803147909.jpg)
![아주경제 3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75822894211.jpg)
![아주경제 22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75842721775.jpg)
![아주경제 23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75902290939.jpg)
![조선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80111848757.jpg)
![중앙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80131980329.jpg)
![동아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80153799927.jpg)
![매일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80211654744.jpg)
![한국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80247294150.jpg)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 2024년 2월 13일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3/20240213075713305314.pn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가계대출 다중채무자 수가 역대 가장 많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 수는 직전 분기보다 2만명 늘어난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내 상주인구가 5171만명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전체 인구 중 8.7%가 다중채무자인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