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경기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4/20240214122702629811.jpg)
도는 14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경기도 1인가구 지원 시행계획’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 계획은 1인가구에게 꼭 필요한 주거, 안전·건강 ·외로움, 추진 체계 등 4개 영역을 포함해 39개 과제로 구성됐다. 또 영역별 촘촘한 정책 추진을 위해 1인가구 총괄 부서인 가족다문화과와 주택, 청년, 노인 등 도내 7개 실국 15개 부서가 협업해 마련했다.
도가 지난해 신설한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사업’은 안산·광명·군포·성남·과천시 등 5개 시·군에 이어 평택·시흥·광주·구리시·양평군 등 5개 시·군이 신규로 참여해 10개 시·군으로 확대 추진한다. 이용 요금도 관내 거주자의 경우 3시간에 5000원으로 낮췄으며, 해당 시·군이 아닌 인근 시·군 거주자도 시간당 5000원의 이용 요금을 내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 대상을 확대했다.
지역별·생애주기별 특성을 반영해 시·군이 제안하면 도가 지원하는 ‘1인가구 자유주제 제안사업’도 지난해 8개 시·군에서 올해 12개 시·군으로 확대한다. 지난해에는 군인 마음클리닉(파주), 중증질환자 1인가구 식사지원(성남) 등을 발굴해 총 1620명이 참여하고 높은 만족도(4.66점/5.0점)를 보였다.
![사진경기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14/20240214122722434118.jpg)
도는 1인가구의 안전한 집 선택을 돕기 위한 ‘주거안전 체크리스트’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주거·안전 전문가, 경기도 여성가족재단과 협업해 경기도 특성과 주택유형 등을 반영한 경기도형 ‘안전한 집 선택 사전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상반기 중에 보급할 예정이다.
안부 확인이 필요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노인말벗서비스’도 추진한다. 안부 확인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주 1회 인공지능 상담원이 안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수신 및 위기 징후 감지 시에는 직접 전화 상담을 진행하고 필요 시에는 복지서비스와 연계까지 실시한다.
이 밖에도 △1인가구 밀집지역 등 우범지역에 방범시설물 설치하는 환경개선 사업 △고립은둔청년 실태파악, 발굴,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 △안전취약계층인 청년들에게 호신용품 보급 등 범죄예방 정책이 포함됐다.
안승만 경기도 가족다문화과장은 “경기도 1인가구는 지역별·생애주기별로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택문제나 건강, 소외 등 여러 어려움을 안고 있다”며 “이번에 마련한 시행계획을 통해 1인가구에게 필요한 영역별 수요 맞춤 정책을 추진해 1인가구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