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사업은 운송·보관·하역 등 물류 전 분야에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물류 체계를 효율화하는 사업으로 2021년부터 추진됐다.
국토부는 올해 실증사업 대상지 선정을 위해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공모를 시행했다. 총 10개 지자체가 사업계획을 제출했으며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거쳐 5건의 사업을 최종 선정했다.
5건의 사업은 △인천시 화물차량 적재공간 스마트화 △충남 서산시의 드론 물류시스템 △부산시 저온보관창고 공유서비스 플랫폼 △서울시 개인·기업 수화물 도시철도 인프라 활용 연계 △경북 김천시 공영주차장 기반 지역거점 생활물류 공용센터 구축 등이다.
국토부는 한국교통연구원, 지자체, 물류기업 등 참여기관들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3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김근오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과장은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사업을 통해 다양한 혁신 기술이 활성화되면 물류취약지역의 물류문제 개선, 물류 서비스 수준 향상이 이뤄질 것"이라며 "선정 이후에도 지자체, 사업 참여기관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우수한 선도사례를 발굴해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