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이 지난해와 달리 성장률이 크게 둔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2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1770만대로 예상된다. 성장률은 11% 수준으로 지난해 1590만대 출하량을 기록하며 25% 성장률을 나타낸 것의 절반 이하다.
트렌드포스 측은 성장이 더뎌지는 배경에 대해 폴더블폰의 잦은 고장과 높은 가격을 꼽으며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의 발전 속도가 초박형 유리(UTG)와 경첩(힌지) 가격 하락과 연동된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제조사별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66.4%로 압도적인 선두를 기록했다. 다만 점유율은 2022년(80%) 대비 약 13.6%P 줄었다.
신규 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화웨이가 11.9%로 뒤를 따랐고, 샤오미와 오포, 비보 등 다른 중국 제조사가 한 자릿수 점유율에 그쳤다.
아울러 올해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60.4%,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는 화웨이(19.8%)는 2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했다.
트렌드포스 측은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가 폴더블 스마트폰을 하나둘씩 선보이는 가운데 애플이 시장에 참가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애플의 잠재적인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진출은 성장을 크게 촉진할 수 있다는 진단이 많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의 갤럭시Z플립 5 [사진=연합뉴스]
22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1770만대로 예상된다. 성장률은 11% 수준으로 지난해 1590만대 출하량을 기록하며 25% 성장률을 나타낸 것의 절반 이하다.
트렌드포스 측은 성장이 더뎌지는 배경에 대해 폴더블폰의 잦은 고장과 높은 가격을 꼽으며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의 발전 속도가 초박형 유리(UTG)와 경첩(힌지) 가격 하락과 연동된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제조사별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66.4%로 압도적인 선두를 기록했다. 다만 점유율은 2022년(80%) 대비 약 13.6%P 줄었다.
아울러 올해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은 60.4%,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는 화웨이(19.8%)는 2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했다.
트렌드포스 측은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가 폴더블 스마트폰을 하나둘씩 선보이는 가운데 애플이 시장에 참가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애플의 잠재적인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진출은 성장을 크게 촉진할 수 있다는 진단이 많다"고 덧붙였다.
![언팩행사서 공개된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5
서울연합뉴스 삼성전자가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 Z 플립5와 갤럭시 Z 폴드5를 전격 공개했다
사진은 갤럭시Z플립 5의 모습 2023726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2023-07-26 230235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2/20240222090934478163.jp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