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준 의원에게는 100점을 주고 싶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총선을 50여 일 앞둔 시점에서 박 의원에 대해 내린 평가다. 당을 대변하는 '민주당의 입'으로서 박 의원이 옹골차게 활약했다며 입을 모았다. 특히 재선에 도전하는 지역인 서울 중·성동을에서도 주민들의 뜻을 전달하는 '목소리'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박한 점수를 줄 수 없다는 평이 대부분이었다.
박 의원도 21일 아주경제와의 대담에서 "제가 열심히 최선을 다하고, 산출물을 낸다는 평가가 있었던 것 같다"며 "그래서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계기가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지난 21대 총선에서 중·성동을에 전략공천을 받은 그는 지상욱 전 국민의힘 의원을 꺾고 정치인으로서 여의도에 첫발을 내디뎠다. 국회에서 1주택자를 위한 종합부동산세 완화 입법에 힘썼고, 당과 함께 발 맞춰 '지역화폐 활성화', '착한임대인법' 등을 추진해 지역구 내 소상공인을 돕기도 했다.
"정치·경제 1번지…내가 적임자"
박 의원은 대담에서 지역구를 향한 애정을 숨김없이 드러냈다. 그는 "중·성동을은 정치·경제 1번지라는 자부심이 있는 곳"이라며 "이곳은 새 비전을 제시할 인물이 필요하고, 내가 적임자라고 생각한다"고 자신했다. '지난 4년간의 성과'에 대해선 "대현산배수지공원에 모노레일을 설치하겠다는 공약을 했었다"며 "주민들의 숙원 사업이었는데 최근 완성됐다"고 설명했다.
대현산배수지공원은 모노레일이 설치되기 전까지 약 110m 길이의 가파른 계단을 이용해야 했다. 눈이 내리거나 비가 오면 미끄럼 사고가 있었고 어르신이나 영·유아를 동반한 보행 약자들은 공원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박 의원은 지난 총선 당시 모노레일 설치를 공약했고, 지난 16일 무인운전 방식의 무료 모노레일이 개통되면서 공약을 성공적으로 이행했다.
박 의원은 재선에 성공한다면 반드시 추진하고 싶은 사안으로 '복합문화체육 스퀘어 조성'을 꼽았다. 지역민들에게 보여줄 명함에도 이 내용을 명기했다. 그는 "우리 구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지역구가 도심 지역이다 보니 스포츠 체육 시설이 굉장히 부족하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오래된 중구청소년수련관을 새롭게 꾸려서 '체육·문화시설'로 만들고 옥수종합사회복지관을 개발해 문화와 체육을 포함한 '복합복지시설'로 새단장 시키겠다는 구상이다.
"1주택자 종부세 완화…다음 국회서 해낼 것"
박 의원은 다음 국회에서 초고가 주택을 제외한 1주택자들의 종합부동산세 완화도 꼭 해내고 싶다고 전했다. 그는 "이번 국회에서 종부세 기본공제 금액을 공시지가 9억원 아파트에서 12억원으로 늘렸다"며 "원래는 15억이었는데, 여야 조정을 거쳐 12억으로 내려갔다. 올라간 부동산 가격에 맞도록 다음 국회에선 공시지가 16억으로 올리려 한다"고 했다.저출생 문제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약 10년간 저출생 예산을 400조 정도 썼는데 효과가 하나도 없었다"며 "그래서 정부의 저출생 예산을 하나로 모으고 세수 구조조정을 해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생각 중"이라고 했다. 대표적인 방안이 △18세 미만 미성년자 자녀를 가진 부모에게 월 50만원 지급 △전·월세 소득공제 △학원비 소득공제 등이다.
국민의힘 측에서는 중·성동을에 하태경 의원, 이영 전 중소기업벤처부 장관, 이혜훈 전 의원 등 3명의 후보가 출사표를 던졌다. 여권 내 정치적 중량감이 있는 후보들이 경선에서 붙은 것이다.
그러나 박 의원은 "부산에서 3선하고 떠밀리듯이 종로로 왔다가 급하게 오신 분(하태경)이나, 서초에서 3선 하고 동대문에 출마했다가 낙선하고 오신 분(이혜훈), 지역구 쇼핑하다가 급하게 온 분(이영)과 저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지난 4년간 지역구민들과 지역 현안을 함께 해결해 온 저와의 차이는 주민들께서 더 잘 아실 것"이라며 "우리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키운 힘이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고 자신했다.
끝으로 그는 지역민들 사이에서 윤석열 정권에 대한 실망감과 분노가 만연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지역에 계신 주민분들을 만나보면 윤석열 정권에 대해 분노하고 있다는 게 여실히 느껴진다"며 "윤 정권에 대한 적극 지지보다 반대하는 적극 반대가 훨씬 높은 상황"이라면서 '정권심판론'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