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구축 중인 정비사업 관리시스템은 예산·회계·인사·행정 등 조합업무를 전산화하고 실시간 공개하는 프로그램이다.
주요 기능은 △예산·회계·인사·행정 등 조합업무 전자결재 △전자문서 및 추진 과정 실시간 공개 △고도화된 추정분담금 시스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등이다.
현재 정비사업은 평균 15년의 긴 사업 기간과 수천억원에서 수조 원의 사업비가 움직이는 대규모 사업임에도 불투명한 회계처리와 정보공개 지연으로 조합 내 분쟁이 자주 발생하고 실제 소송으로 이어지는 등 사업 지연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명칭은 △시스템의 기능과 목적에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적합성’ △시스템의 용도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상징성’ △타 시스템과 차별화되는 ‘창의성’을 기준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다른 공모전 수상작이나 유사·표절된 명칭은 심사 대상에서 제외된다. 공모를 통해 수합된 명칭은 내부 투표 및 전문가 심사위원회 평가를 통해 시상작을 최종 선정한다.
이때 선정된 상위 응모작에 대해 최우수상(1명) 40만원, 우수상(2명) 20만원, 참여상(20명) 1만원 상당의 지역화폐 또는 온누리상품권을 수여할 예정이다.
추후 최우수로 선정된 명칭을 ‘경기도 정비사업 관리시스템(가칭)’ 구축 시 활용할 계획이다. 참여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의소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는 지난해 8월 ‘정비사업 표준 예산‧회계규정’을 마련해 고시했으며 관리시스템도 이 규정을 기준으로 한다.
규정은 △예산의 목적 외 사용금지 △각종 명세서 작성 및 근거 내역 제시 의무 △자금 집행, 카드사용 및 업무추진비 사용기준 마련 등의 내용을 담았다.
도는 규정 고시 이후 시 담당자와 조합소속 정비업자를 대상으로 예산·회계규정 권역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안양시 등 17곳에서 재개발‧재건축 조합을 대상으로 관련 회계규정을 교육하는 ‘찾아가는 정비학교’를 운영한 바 있다.
아울러 시스템의 빠른 정착을 위해 구축 전 시범운영과 함께 이용자별 매뉴얼 배포 및 집합, 방문교육 등을 할 계획이다.
‘경기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조례’ 개정으로 시스템 이용을 강제할 방안도 추진한다. 별도 조례를 운영하는 도내 50만 이상의 대도시에 도의 추진사항을 공유해 같은 조례 개정을 시행하도록 독려할 예정이다.
정종국 경기도 도시재생추진단장은 “정비사업의 투명성·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이 모두가 친숙하게 부를 수 있는 이름을 얻길 바란다”며 “진행사항을 세심하게 살펴 2025년 하반기에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