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 활성화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투과도 평가 서비스' 개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대구=이인수 기자
입력 2024-02-28 11:42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가 국내기업의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해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투과도 평가 서비스를 개편한다고 28일 전했다.

    이에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저분자 화합물 세포투과도 평가 비용을 기존 대비 평균 50% 낮추고, 소요기간도 기존 대비 최대 2주 단축하는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내기업의 서비스 접근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2015년부터 FDA 가이드라인에 준하는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 기반 약물 동태 및 상호작용 시험 분석법을 개발하는 등 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한 결과 2023년 실시한 서비스 만족도조사에서 간편한 의뢰 절차와 합리적 가격,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인정받아 평균 89.5점을 달성했다.

  • 글자크기 설정
  • 비용·속도 개선, 국내기업의 서비스 진입장벽 낮춰

케이메디허브가 세포투과도 평가 기술서비스를 진행 중인 모습으로 국내기업의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해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투과도 평가 서비스를 개편한다 사진케이메디허브
케이메디허브가 세포투과도 평가 기술서비스를 진행 중인 모습으로, 국내기업의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해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투과도 평가 서비스를 개편한다. [사진=케이메디허브]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가 국내기업의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해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투과도 평가 서비스를 개편한다고 28일 전했다.
 
저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 Drug)이란 분자량이 작은(≦1,000 달톤) 유기 화합물로 타깃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거나 상호작용을 방해하는 등의 매커니즘을 가져 신약 선도물질 개발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투과도 평가는 해외 위탁계약 연구기관의 낮은 서비스 비용과 짧은 시험 기간으로 국내기업의 해외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저분자 화합물 세포투과도 평가 비용을 기존 대비 평균 50% 낮추고, 소요기간도 기존 대비 최대 2주 단축하는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내기업의 서비스 접근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2015년부터 FDA 가이드라인에 준하는 저분자 화합물의 세포 기반 약물 동태 및 상호작용 시험 분석법을 개발하는 등 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한 결과 2023년 실시한 서비스 만족도조사에서 간편한 의뢰 절차와 합리적 가격,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인정받아 평균 89.5점을 달성했다.
 
저분자 화합물 세포투과도 평가 서비스 관련 상담 및 신청은 케이메디허브 홈페이지 또는 신약개발지원센터 기술분석지원팀을 통해 진행 가능하다.
 
양진영 이사장은 “이번 서비스 개편을 통해 국내 신약개발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서비스 개선사항을 지속해서 발굴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