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제철소, '계전기 교체 주기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 설비 제어장치 수명 사전 예측

  • 사용 횟수 권고범위 초과시 알람 즉각 전송

광양제철소가 설비 제어장치의 일종인 계전기 수명을 사전에 예측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운용하고 있다 사진광양제철소
광양제철소가 설비 제어장치의 일종인 계전기 수명을 사전에 예측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운용하고 있다. [사진=광양제철소]

광양제철소가 설비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도입한 '계전기 교체 주기 모니터링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3CGL(Continuous Galvanizing Line, 용융아연도금강판공장) 공장에 설치되어 있으며, 설비와 설비 간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계전기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문제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계전기 교체 주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계전기의 제조사가 권고하는 전기 신호 전달 횟수가 허용되는 범위를 고려하여 작동한다. 만약 허용 범위의 90%를 초과하는 전기 신호 전달 횟수가 감지되면, 시스템은 작업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람을 전송하여 계전기의 교체 시점이 임박했음을 알려준다. 이를 통해 작업자들은 적시에 계전기를 정비하고 교체함으로써 장애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광양제철소 관계자는 “안정적인 계전기 운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설비 이상을 사전 예방함으로써 직원들이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광양제철소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실제 설비와 동일한 형태의 교보재가 설치된 교육실습장 구축과 계층별 직원들에게 맞춤형 안전교육을 제공하는 안전교육훈련센터를 신축해 전 직원의 안전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체계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