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부위원장은 발언을 통해 관리천의 오염사고로 인한 생태계 파괴의 심각성과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을 공유하며 천문학적인 하천복구비용을 부담한 평택시에 대한 재정지원의 필요성과 하천관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경기도 차원의 수자원 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 개별입지공장에 대한 계획적 관리 및 난개발 방지방안 마련 △ 하천을 둘러싼 지역갈등 해소와 주민중심의 하천 관리·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협의체 구성 및 활성화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평택에서 발생한 사고가 아님에도 1000억원에 달하는 하천복구비용을 평택시가 부담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정부와 경기도가 지원한 금액은 고작 30억원에 불과했다”고 꼬집었다.
마지막으로 “관리천의 오염실상과 오염수 처리과정을 지켜본 지역주민들은 하천바닥으로 스며든 오염수로 인한 지하수와 토양오염을 걱정하며 불안해 하고 있다”고 말하며 “지하수와 토양 검사결과의 투명한 공개와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치유방안을 마련해 시행해 줄 것을 요청한다”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