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정원 수요 조사가 4일 마감될 예정인 가운데 증원 신청 총규모가 정부가 앞서 늘리겠다고 밝힌 2000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얼마나 정원 증원 신청이 들어왔는지는 5일 오전에 공개된다.
박성민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대학들의 수요 신청 규모와 관련해 "(2월) 29일까지 접수된 데가 거의 없고, 오늘 24시까지 접수할 예정"이라며 "작년 수요 조사(최소 2151명, 최대 2847명)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형식으로 발표할지 내일 오전에, 늦지 않게 알려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안의 중대성과 민감성 때문에 고심 끝에 밤늦게 신청서를 제출하는 대학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신청 규모는 5일이 지나야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신청 규모는 정부가 앞서 증원하겠다고 발표한 2000명 수준과 비슷하거나 이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별로는 울산대의 경우 기존 정원 40명에서 60명을 늘린 100명 전후로 정원을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정원이 49명인 부산 동아대도 100명 안팎의 정원을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대도 현행 정원(110명)을 최소 250명까지 늘리는 신청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을지대는 정원 40명을 최소 60명으로 늘리는 안을, 충남대는 정원 110명을 2배 증원하는 신청서 제출을 검토하고 있다. 아주대 역시 현재 40명인 정원을 최소 110명 이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일부 대학은 총장과 의대 학장 사이에서 증원 신청 여부와 규모를 놓고 상반된 입장을 내놓고 있다. 경남 지역 거점국립대인 경상국립대는 현재 76명인 의대 정원을 200명 규모로 증원해 달라고 교육부에 신청할 방침이지만, 의대는 이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대학에 전달했다.
지난해 11월 수요 조사에서 각 대학은 현 정원인 3058명에서 총 2151~2847명 증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 실장은 이번 신청 결과와 유사할 것으로 보느냐는 물음에 "비슷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답했다.
교육부는 기한 내에 신청하지 않은 대학의 의대 정원을 임의로 늘려주는 일도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앞서 지난달 29일 공문을 보내 각 의대에 수요 조사를 기한 내 제출하라고 재촉했다.
의대 증원 신청 규모는 이날 오후 4~6시쯤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박성민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대학들의 수요 신청 규모와 관련해 "(2월) 29일까지 접수된 데가 거의 없고, 오늘 24시까지 접수할 예정"이라며 "작년 수요 조사(최소 2151명, 최대 2847명)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형식으로 발표할지 내일 오전에, 늦지 않게 알려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안의 중대성과 민감성 때문에 고심 끝에 밤늦게 신청서를 제출하는 대학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신청 규모는 5일이 지나야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 신청 규모는 정부가 앞서 증원하겠다고 발표한 2000명 수준과 비슷하거나 이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별로는 울산대의 경우 기존 정원 40명에서 60명을 늘린 100명 전후로 정원을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정원이 49명인 부산 동아대도 100명 안팎의 정원을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대학은 총장과 의대 학장 사이에서 증원 신청 여부와 규모를 놓고 상반된 입장을 내놓고 있다. 경남 지역 거점국립대인 경상국립대는 현재 76명인 의대 정원을 200명 규모로 증원해 달라고 교육부에 신청할 방침이지만, 의대는 이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대학에 전달했다.
지난해 11월 수요 조사에서 각 대학은 현 정원인 3058명에서 총 2151~2847명 증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 실장은 이번 신청 결과와 유사할 것으로 보느냐는 물음에 "비슷할 것으로 예측한다"고 답했다.
교육부는 기한 내에 신청하지 않은 대학의 의대 정원을 임의로 늘려주는 일도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앞서 지난달 29일 공문을 보내 각 의대에 수요 조사를 기한 내 제출하라고 재촉했다.
의대 증원 신청 규모는 이날 오후 4~6시쯤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