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농식품부, FAST 농정 위해 올해 149차례 현장 방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성진 기자
입력 2024-03-07 11: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신속하게 현장에서 문제의 답을 찾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올해 1~2월 두 달간 총 149차례 현장을 방문했다.

    농식품부는 'FAST 농정' 구현을 위해 송미령 장관을 비롯한 국장급 이상 간부 15명이 지난 1~2월 149차례 전국 곳곳의 현장을 찾아 소통했다고 7일 밝혔다.

    FAST 농정은 현장(Field)에서 듣고 행동(Action)하고 문제를 해결(Solution)해 믿음(Trust)을 준다는 농정의 줄임말이다.

  • 글자크기 설정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5동 농림축산식품부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5동 농림축산식품부.[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농림축산식품부가 신속하게 현장에서 문제의 답을 찾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올해 1~2월 두 달간 총 149차례 현장을 방문했다. 

농식품부는 'FAST 농정' 구현을 위해 송미령 장관을 비롯한 국장급 이상 간부 15명이 지난 1~2월 149차례 전국 곳곳의 현장을 찾아 소통했다고 7일 밝혔다. FAST 농정은 현장(Field)에서 듣고 행동(Action)하고 문제를 해결(Solution)해 믿음(Trust)을 준다는 농정의 줄임말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현장을 가장 많이 찾았다. 송 장관은 60일간 29차례 전북 장수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현장을 찾아 대응 태세를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를 격려했다.

농식품부는 물가 등 민생 현안 해결을 위해 현장을 찾았다. 농식품부는 대형마트를 비롯해 유통업계, 소비자 등을 만나 사과와 배의 수급 상황을 확인했다. 현장에서 청취한 의견을 적극 반영해 설 성수기에 앞서 사과·배 공급을 확대하는 등 물가 안정을 위해 움직였다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전문가, 청년 등 농업·농촌의 미래를 이끌어갈 당사자의 목소리도 들었다. 청년농 간담회를 통해 불필요한 규제를 없앴고 농지 이용 규제 합리화 방안을 발표했다는 것이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수직농장 등 스마트팜 수출업계도 만나 수출 유망분야로 떠오른 스마트팜의 수출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고 해법을 찾았다.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현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송 장관은 "현장에서 공감받지 못하는 정책은 정책이라 할 수 없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의미있는 성과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알리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