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동·풍납동 모아타운 2곳 서울시 심의 통과···2319가구 공급

윤석열 대통령이 2023년 12월 21일 서울 중랑구의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인 모아타운 사업지에서 열린 지역주민들과의 도심 주택공급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023년 12월 21일 서울 중랑구의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인 모아타운 사업지에서 열린 지역주민들과의 도심 주택공급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강서구 방화동과 송파구 풍납동 등 모아타운 2곳에 주택 2319가구가 공급된다.

서울시는 7일 열린 제3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위원회에서 '강서구 방화동 592-1번지 일대 모아타운', '송파구 풍납동 483-10번지 일대 모아타운' 등 2건을 수정 가결했다고 8일 밝혔다.

모아타운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10만㎡ 이내 노후 저층 주거지를 하나로 묶어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소규모 정비 모델이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지역 내 이웃한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 필지를 모아 블록 단위로 공동 개발하는 모아주택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이번 모아타운 관리계획은 용도지역 상향(제2종→제2종·3종일반주거지역)과 정비기반시설 정비(도로) 등의 계획을 담았다. 또 모아타운 지정으로 6개 모아주택사업 추진 때 총 1389가구 주택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아울러 대상지 일대 주요 생활가로인 금낭화로11길은 모아주택 개발 규모에 맞게 금낭화로(20m)로 연결되는 도로를 신설하고, 8m에서 12m로 도로 폭을 넓히도록 했다.

풍납동 483-10번지 일대에는 적극적 도시계획·건축규제 완화를 통해 가로주택정비사업 방식으로 추진되는 모아주택 총 930가구가 공급된다.

대상지는 풍납토성이 인접한 문화재보존관리지역으로, 이로 인한 높이 제한(6∼15층)과 올림픽로변 조망가로특화경관지구 층수 제한(6∼8층) 등 높이에 관한 이중 규제가 적용돼 그동안 공동개발이 어려웠다.

이번 심의를 통과한 관리계획은 용도지구 변경(올림픽로변 조망가로특화경관지구 범위 조정), 용도지역 상향(제2종→제2종일반주거지역), 도로 및 공원 등 정비기반시설 확충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용도지역 상향으로 평균 13층 이하로 묶였던 층수 제한이 완화됐다.

또 풍납동 모아타운은 지난해 3월 서울도시주택공사(SH공사)의 '모아타운 공공관리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SH공사가 관리계획 수립부터 조합설립까지 지원하고, 조합설립 이후 조합원 과반수가 동의할 경우 공동사업시행도 가능하다. SH공사와 공동사업시행을 할 경우 사업면적을 2만㎡에서 최대 4만㎡까지 확대할 수 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이번 관리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낙후됐던 방화동과 풍납동 일대가 명품주거 단지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