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첫 집을 구매하는 2030 청년층 비중이 계속해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대출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어난 데다 서울 집값 부담이 매우 커 인접 지역으로 청년층이 이동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정책 대출 축소, 전셋값 상승 등으로 청년층이 내 집을 마련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며 '탈서울'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10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 분석 결과 지난 2월 기준 서울 생애 첫 부동산(집합건물) 매수 인원 중 2030세대 비중은 47.5%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56.1%) 대비 9%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집합건물은 아파트와 오피스텔, 빌라(연립·다세대주택) 등을 모두 포함하는 주택을 의미한다.
지난해 9월만 하더라도 해당 통계에서 2030 청년층의 서울 지역 생애 첫 부동산 구입 비중이 63.3%에 달한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낮아진 것이다. 당시 정책대출인 특례보금자리론 등 영향으로 청년층의 내 집 마련 수요가 높았다. 이후 지난해 10월(60.5%)과 11월(58.6%)까지만 해도 60% 안팎 비중을 보였으나 이후 하락에 속도가 붙었다.
반면 경기 지역은 서울과 달리 청년층의 첫 집 마련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경기도 내 생애 첫 집 매수 비중은 54.4%로 지난 1월 50.5%보다 상승했다.
시장에서는 집값 하락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이 여전히 높고, 전셋값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자금 부담이 커진 청년층이 서울과 수도권 지역으로 이동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올해 대출 문턱이 대폭 낮아진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청년층은 대출을 통해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지난해 소득 제한 없이 9억원 이하 아파트에 대출해 준 특례보금자리론은 지난 1월 말 보금자리론으로 대체됐다. 하지만 보금자리론은 대출 조건은 더 까다로워지고 대출 한도는 더 줄어들었다. 작년 말부터 정부가 도입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역시 상대적으로 연봉이 낮은 청년층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주택 수요가 많은 서울에서 주택 공급이 확대돼 집값이 안정되기 전까지 탈서울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고준석 연세대 경영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물론 전셋값까지 치솟으면서 주거 불안이 커진 청년층이 상대적으로 주거 부담이 낮은 경기도 등 인접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추가적인 정책 대출, 금리 인하 등 조치가 없다면 청년층의 탈서울 현상은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