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부회장이 지난 8일 회장으로 승진하며 신세계그룹이 다시 태어난다. 2006년 부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18년 만이다.
이로써 정 회장은 쿠팡과 알리익스프레스 등 이커머스의 공세 속에 ‘유통업계 1위’에 걸맞은 혁신을 보여줘야 하는 중대한 과제를 짊어지게 됐다.
10일 유통 업계에 따르면, 정 회장은 이날 오전 회장 승진 발표와 함께 신세계그룹 전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과 함께 전략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찾는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신세계그룹은 이번 정 회장의 승진에 대해 “날로 경쟁이 치열해지는 유통시장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한 위기 요인이 있어 더욱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해졌다”며 “녹록지 않은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 성장을 이룰 혁신시스템을 구축, ‘1등 기업’으로 다시 한번 도약하기 위해 이번 인사를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쿠팡은 지난해 매출액 30조원을 넘기며 주력사인 이마트를 앞질렀다. 반대로 이마트는 지난해 46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사상 첫 적자 전환이라는 위기를 맞이했다.
이마트와 신세계의 총매출액도 지난해 35조8293억원으로 2022년 37조1452억원보다 1조원 이상 줄었다.
신세계건설 부진이 실적 악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손꼽히지만, 이마트만 놓고 봐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09억원이 줄어든 1880억원으로 전년 대비 27.3% 감소했다.
유통시장의 중심이 된 온라인 채널 역량 강화도 정 회장이 풀어야 할 숙제다. 신세계그룹의 이커머스 계열사인 SSG닷컴과 G마켓도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내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유통 강자인 쿠팡 뿐만 아니라 최근 한국 시장에 진출해 경쟁자로 급부상한 중국 이커머스 업체도 위협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국내 유통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달 모바일앱 사용자 수 기준 2위로 쿠팡의 뒤를 이었다. 테무는 4위, G마켓은 5위를 차지했다.
온·오프라인 유통 경쟁력 강화 외에 미래 먹거리 사업 발굴 역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정 회장은 이미 지난해 9월 정기임원인사를 통해 최고경영자(CEO) 40%를 바꾸는 등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경영전략실을 기능 중심의 컨트롤타워로 개편하고 대대적 혁신을 주문한 상태다.
여동생인 정유경 신세계그룹 총괄사장은 백화점과 면세점, 패션 분야를 책임지며 당분간 현 직위를 유지한다. 정 회장의 어머니인 이명희 회장은 그룹 총괄회장으로서 기존처럼 총수 역할을 이어간다. 다만 오빠인 정 회장이 회장으로 승진해 이마트와 백화점을 함께 경영하게 된 만큼, 향후 계열 분리 가능성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 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지분 구조 변동이나 정 사장의 지위 변화는 없음에도 이러한 인사를 단행한 것은 신세계그룹의 후계자 구도를 공고히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정 회장은 고(故) 이병철 삼성그룹 창립자의 외손자이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동갑내기 사촌으로 경복고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1995년 신세계 전략기획실 전략팀 이사로 입사해 1997년 신세계 기획조정실 상무, 2000년 경영지원실 부사장을 거쳤다. 2006년 신세계 경영지원실 부회장, 대표이사 부회장직을 맡은 뒤 신세계그룹 부회장직을 수행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추가 인사나 조직 개편 등 대대적인 쇄신 작업은 당분간 없을 예정”이라며 “정 회장을 중심으로 그동안 추진해왔던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정 회장은 쿠팡과 알리익스프레스 등 이커머스의 공세 속에 ‘유통업계 1위’에 걸맞은 혁신을 보여줘야 하는 중대한 과제를 짊어지게 됐다.
10일 유통 업계에 따르면, 정 회장은 이날 오전 회장 승진 발표와 함께 신세계그룹 전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과 함께 전략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찾는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신세계그룹은 이번 정 회장의 승진에 대해 “날로 경쟁이 치열해지는 유통시장은 과거보다 훨씬 다양한 위기 요인이 있어 더욱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해졌다”며 “녹록지 않은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 성장을 이룰 혁신시스템을 구축, ‘1등 기업’으로 다시 한번 도약하기 위해 이번 인사를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마트와 신세계의 총매출액도 지난해 35조8293억원으로 2022년 37조1452억원보다 1조원 이상 줄었다.
신세계건설 부진이 실적 악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손꼽히지만, 이마트만 놓고 봐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09억원이 줄어든 1880억원으로 전년 대비 27.3% 감소했다.
유통시장의 중심이 된 온라인 채널 역량 강화도 정 회장이 풀어야 할 숙제다. 신세계그룹의 이커머스 계열사인 SSG닷컴과 G마켓도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내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유통 강자인 쿠팡 뿐만 아니라 최근 한국 시장에 진출해 경쟁자로 급부상한 중국 이커머스 업체도 위협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국내 유통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달 모바일앱 사용자 수 기준 2위로 쿠팡의 뒤를 이었다. 테무는 4위, G마켓은 5위를 차지했다.
온·오프라인 유통 경쟁력 강화 외에 미래 먹거리 사업 발굴 역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정 회장은 이미 지난해 9월 정기임원인사를 통해 최고경영자(CEO) 40%를 바꾸는 등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경영전략실을 기능 중심의 컨트롤타워로 개편하고 대대적 혁신을 주문한 상태다.
여동생인 정유경 신세계그룹 총괄사장은 백화점과 면세점, 패션 분야를 책임지며 당분간 현 직위를 유지한다. 정 회장의 어머니인 이명희 회장은 그룹 총괄회장으로서 기존처럼 총수 역할을 이어간다. 다만 오빠인 정 회장이 회장으로 승진해 이마트와 백화점을 함께 경영하게 된 만큼, 향후 계열 분리 가능성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 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지분 구조 변동이나 정 사장의 지위 변화는 없음에도 이러한 인사를 단행한 것은 신세계그룹의 후계자 구도를 공고히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정 회장은 고(故) 이병철 삼성그룹 창립자의 외손자이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동갑내기 사촌으로 경복고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1995년 신세계 전략기획실 전략팀 이사로 입사해 1997년 신세계 기획조정실 상무, 2000년 경영지원실 부사장을 거쳤다. 2006년 신세계 경영지원실 부회장, 대표이사 부회장직을 맡은 뒤 신세계그룹 부회장직을 수행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추가 인사나 조직 개편 등 대대적인 쇄신 작업은 당분간 없을 예정”이라며 “정 회장을 중심으로 그동안 추진해왔던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