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證 "SK하이닉스, AI 투자 열풍 지속에 목표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송하준 기자
입력 2024-03-11 08:45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BNK투자증권은 11일 SK하이닉스에 대해 인공지능(AI) 투자 열풍이 지속되는 가운데 회사가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칩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SK하이닉스의 서버 디램 평균판매단가(ASP) 급상승의 원인인 128GB 고용량 디램 모듈 제품은 지금도 일반 디램 대비 3배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며 "주력 제품인 HBM3의 비트당 가격은 작년 초기 수준에서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제품 믹스 개선에 따른 디램 ASP 상승과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12조4000억원, 영업이익 1조7400억원으로 추정한다"며 "디램과 낸드 ASP는 전분기대비 각각 15%, 20% 상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글자크기 설정
사진SK하이닉스
[사진=SK하이닉스]

BNK투자증권은 11일 SK하이닉스에 대해 인공지능(AI) 투자 열풍이 지속되는 가운데 회사가 엔비디아에 납품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칩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는 기존 15만5000원에서 21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회사의 매스리플로우-몰디드언더필(MR-MUF) 기술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고 최소 5세대 HBM인 HBM3E까지는 경쟁사들의 진입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HBM4부터 경쟁사의 MR-MUF 기술 도입 가능성이 있지만 회사가 핵심 소재 공급선을 독점 계약했기 때문에 한동안 진입은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SK하이닉스의 서버 디램 평균판매단가(ASP) 급상승의 원인인 128GB 고용량 디램 모듈 제품은 지금도 일반 디램 대비 3배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며 "주력 제품인 HBM3의 비트당 가격은 작년 초기 수준에서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제품 믹스 개선에 따른 디램 ASP 상승과 수익성 개선이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12조4000억원, 영업이익 1조7400억원으로 추정한다"며 "디램과 낸드 ASP는 전분기대비 각각 15%, 20% 상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상보다 높은 ASP 상승을 반영한 실적 상향 조정과 최근 리레이팅(재평가) 추이를 고려해 목표가를 상향한다"며 "AI 서버 투자 붐과 엔비디아-TSMC-SK하이닉스 공급망의 핵심적 역할을 고려할 때 최근 주가 리레이팅 진행은 합당하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