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12일 오후 2시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지역 의료기관장 비상진료대책 간담회를 개최하고 최근 의료대응 현황을 공유하고 시와 중앙정부의 비상진료체계 지원방안 등 주요 비상진료대책을 함께 논의했다사진부산시](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3/12/20240312174324881374.png)
시는 12일 오후 2시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지역 의료기관장 비상진료대책 간담회를 개최하고, 최근 의료대응 현황을 공유하고 시와 중앙정부의 비상진료체계 지원방안 등 주요 비상진료대책을 함께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 시장을 비롯해 주요 대학병원, 2차 병원의 의료기관장, 부산시병원협회장, 소방재난본부 관계자 등 24개 기관에서 총 24명이 참석했다.
특히, 시는 이날 현장에서 나온 의료기관장들의 의견을 수렴해 시 재난관리기금 21억원을 투입하는 비상진료체계 지원방안을 마련, 발표했다.
공공 의료기관의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5억9000만원을 투입해 부산의료원의 진료의사를 특별 채용키로 했다.
전원조정 업무 부담을 경감하고 응급환자 전원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부산형 응급의료상황실’ 운영인력 8명을 약 1억여원을 들여 신규 채용한 다음,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배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앙정부도 전공의 이탈로 진료 지연이 발생한 부산대학교병원에 지난 11일부터 외과·소아청소년과 등 전문의 4명을 포함한 의사 9명(군의관 2명, 공보의 7명)을 파견해 전공의 공백을 보완하고 있다.
박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묵묵히 의료현장을 지키면서 환자 진료 등에 현신하고 있는 의료진의 노고에 감사를 전했으며, 의료공백 장기화에 대비해 의료기관에 필수기능(응급, 중환자 등) 유지와 비상진료체계 지속 시행, 비대면 진료 적극 활용 등을 당부했다.
의료공백으로 진료, 수술 등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의료이용 불편 최소화를 위해서는 비상진료체계와 의료기관 필수기능 유지 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박 시장은 최근 정부에서 추진 중인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늘리는 시범사업과 비대면 진료를 시행해 달라고 협조를 구했다.
한편, 시는 의료공백으로 인한 시민의 의료이용 불편 최소화를 위해 의료기관 현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의료공백으로 인한 시민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이번 비상진료체계 지원방안을 비롯, 가용한 시정 역량을 모두 투입해 빈틈없이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아울러, 시민 여러분들께서도 중증환자는 대형병원에서, 비응급·경증환자는 인근 병·의원에서 진료받을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