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수입차 판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 부진과 할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5% 감소한 28만대의 수입차가 국내에서 팔릴 것으로 예측된다. 국산 차 판매량은 2.3% 줄어든 142만대다. 내수 위축으로 국내 자동차 생산도 0.6% 감소한 422만대로 전망됐다. 다만 공급망 불안 해소엔 따른 생산 정상화로 중견 3사를 중심으로 국내 공장 가동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은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에서의 전기차 판매 호조와 하반기 금리 인하에 따른 소비 심리 회복으로 1.2% 증가한 28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완성차 수출액 전망치는 친환경차·레저용 차량(RV) 등 고부가가치 차량 수출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2.3% 증가한 725억달러를 나타낼 것으로 관측됐다. 다만 1300원대의 고환율과 중국 전기차업체의 글로벌 판매 강화, 일본업체의 하이브리드차 모델 선전은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자동차업계는 올해 국내 자동차 업계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 기반 구축과 투자를 시행할 수 있도록 세액공제 기한 연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개별소비세 감면, 노후차 교체구매 지원 등의 소비 지원정책도 요구된다. KAMA 관계자는 "이와 더불어 부품기업 지원을 위한 '미래자동차 부품 산업의 전환 촉진·생태계 육성에 관한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도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