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는 대체거래소(ATS) 도입을 통해 복수 거래시장 체제로 자본시장 위기 시 거래 연속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장 충격 완화와 유동성 확충을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입니다.”
김진국 넥스트레이드 전무는 20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4 아시아태평양금융포럼(APFF)’에서 ATS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최근 우리나라 자본시장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는 작년 6925만개로 급격히 늘었다. 앞서 2007년 1125만개, 2012년 1879만개, 2017년 2488만개 등으로 집계됐다.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지수증권(ETN) 등 금융상품이 다변화되면서 규모도 커졌다. 2014년 19조7000억원, 5000억원에 불과했던 ETF와 ETN 시가총액은 지난달 132조8000억원, 14조2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주식시장 일평균 거래대금도 20조원 수준으로 늘었고, 시가총액은 2600조원에 달한다. 2010년부터 연평균 약 6%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김 전무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은 단일 시장이라는 한계로 인해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기 어렵다”며 “정보통신(IT) 인프라 개선을 위한 투자 유인이 낮고 새로운 상품 수요를 수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ATS는 정규거래소 매매 체결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증권 거래시스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넥스트레이드가 국내 제1호 ATS다. 2022년 11월 설립됐으며 이듬해인 2023년 7월 금융위원회에서 ATS 업무 영위를 위한 예비인가를 취득했다. 올 4분기 본인가를 신청하고 취득할 예정이며, 내년 1분기 중 시장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
김진국 전무는 “미국은 ATS, 유럽은 MTF, 일본은 PTS 등으로 불린다”며 “이들 국가는 ATS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정규거래소와 경쟁하는 체계가 정착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해외 ATS는 정규거래소 대비 낮은 거래비용, 새로운 기술, 다양한 주문제도, 고객 중심 수수료 체계를 추구한다”고 덧붙였다.
ATS가 도입되면 한국거래소(KRX) 단일 시장에서 복수 거래시장으로 바뀌며 투자자가 거래시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각 시장의 수수료, 서비스 등을 비교할 수 있다.
우선 투자자 주식거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정규거래소와 ATS 간 경쟁으로 거래수수료가 인하됐다. 캐나다는 ATS 도입 전 0.31~0.35 캐나다달러에서 도입 후 0.21~0.25 캐나다달러로 줄었다.
매매 체결 속도 역시 향상될 수 있다. 정규거래소와 ATS 간 IT 부문 경쟁은 국내 자본시장 거래 인프라를 고도화하는 촉매제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자가 주식거래를 할 때 시간 지연 비용, 시장 충격 비용 등 암묵적 거래비용 축소도 가능하다.
김 전무는 “정규거래소와 ATS 간 수수료 경쟁이 투자자 주식거래 비용을 절감시켜주는 효용을 창출하고 더 저렴한 거래비용으로 거래할 수 있는 투자 환경을 제공한다”며 “ATS는 혁신적인 IT 기술을 도입해 정규거래소 대비 빠른 체결 속도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야간에도 주식거래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일본 대체거래소는 야간·새벽 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오후 8시부터 익일 오전 4시까지, 일본은 오전 8시 20분부터 익일 오전 6시까지 운영된다.
김 전무는 “국내 ATS는 해외 사례를 감안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야간거래(시간 미정)를 도입할 예정”이라며 “투자자 생활 사이클에 맞춰 거래할 수 있고, 글로벌 주식시장과 연계한 거래가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투자자 거래수요를 충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거래량이 늘어나며 균형가격을 찾기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는 ATS가 등장한 후 매매체결 서비스 경쟁 속에 거래량이 크게 증가해 주식시장이 질적으로 개선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전무는 “우리나라 시장도 ATS 도입에 따른 시장 분할 등 성장통이 있을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해외와 같이 유동성 증가와 시장 효율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식 외에 ETF, 채권, 파생상품, 토큰증권발행(STO) 등 투자자 수요가 있는 다양한 자산에 대한 거래 수단으로 ATS를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
국내 ATS는 상장주식, 예탁증권(DR)만 거래될 수 있지만 해외 ATS와 같이 상품거래 범위가 확대되면 혁신적인 상품 개발과 거래를 촉진해 자본시장 깊이와 넓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주문제도를 벤치마크해 국내에도 반영할 수 있다.
김 전무는 “외국인에 비해 매매기법이 떨어진다고 평가받는 국내 기관, 연기금, 개인투자자에게 해외 선진 주문 방식을 직접 편리하게 제공해 국내 투자자 수익률 제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