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는 오는 4월 1일부터 이 같은 은행권 금융지원 프로그램이 개시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2월 발표한 '76조원+α' 규모의 '맞춤형 기업금융지원방안'과 3월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논의한 민생활력 제고를 위한 취약부문 금융지원 방안의 후속조치로 마련됐다.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과 함께 5대(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은행이 참여한다.
먼저 산은과 5대 은행은 신성장 분야로의 신규진출·확대투자를 원하는 중견기업을 위해 최초로 중견기업 전용 저금리 대출 프로그램을 출시한다. 성장잠재력이 높은 '혁신성장공동기준'의 품목을 생산·활용하는 중견기업이 대상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첨단제조·자동화 △화학·신소재 △에너지 △환경·지속가능 △건강·진단 △정보통신 △전기·전자 △센서·측정 △지식서비스 등 9개 테마 속 284개 품목이다.
설비투자와 연구·개발(R&D)·운영 자금에 대해 업체당 최대 1500억원까지 기존 금리 대비 1%포인트 우대해 대출을 지원한다. 중견기업이 혁신성장공동기준에 해당하는 품목을 직접 생산·활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품목에 관련된 전·후방 업체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산은과 5대 은행은 내부 시스템에 혁신성장공동기준 해당여부를 판단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했거나 '혁신성장공동기준 매뉴얼'을 통해 개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내달부터는 은행권 공동의 신속금융지원 프로그램도 확대된다. 신속금융지원 프로그램은 은행권이 시장 상황에 따라 중소기업 여신이 과도하게 위축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난 2008년부터 운영 중이다. 유동성이 매말라도 정상경영이 가능한 경우(기업신용위험평가결과 B등급) 기업의 신청에 따라 일정기간 대출금 상환을 유예하고 대출금리 인하 등을 제공하는 제도다.
앞으로 1년 동안은 일시적 유동성 위험에 직면한 기업뿐만 아니라, 일시적 위험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도 지원대상에 포함한다. 예컨대 정상기업이지만 전기 대비 매출액이 10% 이상 감소하거나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등 기업신용위험평가를 다시 시행하면 B등급을 받을 것이 유력하다고 주채권은행이 판단하는 경우에도 지원대상에 포함된다. 특히 올해 신청한 기업에는 1년간 대출금리를 크게 인하해 주요 시중은행의 조달금리 수준(현재 3%대)으로 금리를 낮춰 정상화를 돕는다.
금융위는 "지난 2월 발표한 76조원 규모의 맞춤형 기업금융지원방안이 현장의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조속히 집행하는 한편, 지원실적을 지속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