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섭 칼럼] 기술보다 주목받는 '기술의 목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주영섭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특임교수
입력 2024-03-31 16: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주영섭 교수
[주영섭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특임교수]



세계 최대의 기술 전시회인 미국 라스베가스 CES(소비자전자쇼)는 미래 기술 트렌드를 제시한다는 면에서 그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 기술이 국가 명운을 좌우하는 기술패권 시대에 접어들며 CES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 CES 2024에 역대 최대 규모인 784개 기업이 전시업체로 참여하고 1만5000명에 가까운 참관인원을 기록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인 것은 시대 흐름을 따라가려는 고무적 현상이라 하겠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CES에서 우리 기업은 무엇을 배워야 할까? 물론 분야 별로 어떤 신기술이 제시되었는지가 주요 관심사다. CES 2024의 핵심 트렌드는 모든 분야에 걸쳐 생성형 AI, 온 디바이스 AI 등 인공지능(AI) 기술이 압도적 주목을 받으며 모든 기업이 반드시 적용해야 할 필수 기술로 자리 잡은 것이다. 아울러 기후 위기에 따른 환경의 지속가능성은 물론 보건·의료, 안전, 사회 양극화 등 사회 문제를 해결하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크게 부상하고 있다는 점도 역시 핵심 트렌드로 제시되었다.
 
기술과 함께 우리가 반드시 주목해야 할 트렌드는 시대정신의 변화다. 1967년 처음 개최된 이후 늘 신기술 제시에 주력해온 CES에 작년부터 중대한 변화가 감지되었다. 기술 혁신 자체보다 기술 혁신의 목적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 변화는 작년 세계적 농기계 회사인 존 디어와 세계 최고 자동차 회사 BMW의 사례에서 극명하게 표출되었다. 존 디어는 자율주행 트랙터를 출품하고 BMW는 자율주행은 물론 차 색깔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카멜레온 자율주행차를 제시했다. 기술 혁신 면에서 보면 장애물이 별로 없는 농지보다 훨씬 어려운 도로에서의 자율주행 기술이 훨씬 고난도이고 색깔까지 바꾸는 BMW 기술이 절대적으로 앞서지만 세계인의 반응은 압도적으로 존 디어에 쏠렸다. BMW의 기술은 기술 자체로는 훌륭했지만 기술 혁신의 목적 면에서 존 디어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 존 디어는 80억명의 전 세계 인구가 장차 100억명으로 증가가 예상되는데 기후 위기에 따른 이상 기후, 농지 및 물 부족 등으로 농업 생산성이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세계는 식량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상황에서 존 디어는 자율주행 트랙터 등 농업 기술혁명으로 인류를 식량 위기에서 구하겠다고 천명하며 세계인을 감동시켰다. 기술 혁신도 중요했지만 그 기술 혁신의 목적이 대단히 훌륭했던 것이다. 40년 전부터 올해까지 스무 번 가까이 CES를 참관해온 필자에게는 AI 등 신기술 못지않게 중대한 변화로 인식되었다.
 
기술 중심에서 기술의 목적 중심으로의 변화는 올해 더욱 두드러졌다. 기술 혁신은 ‘기술을 위한 기술’이 아니라 ‘인류를 위한 기술’이어야 한다는 지극히 당연한 사실에 세계가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CES가 작년과 올해 ‘인류를 위한 기술’이라는 기술 혁신의 목적으로 제시한 개념이 ‘Human Security for All’이다. 이는 1994년 UN이 처음 제안한 이후 CES의 주관기관인 CTA(미국소비자기술협회)가 작년 유엔과 함께 다시 시작한 캠페인으로, ‘모두를 위한 인류 안보’라 번역하는 것이 가장 적절해 보인다. 국가에 ‘국가 안보’가 가장 중요한 것처럼 인류에 ‘인류 안보’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인류 안보’는 인류의 생명과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8가지 위험에서 인류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는 의미다. 8가지 위험이란 환경, 식량, 보건·의료, 경제, 개인 안전·이동, 공동체 안전, 정치적 자유의 7가지 분야에서의 위험에 올해 추가된 기술 분야를 포함한 8가지 분야에서 인류를 위협하는 거대 위험을 말한다. 세계 각국 및 세계인은 모두 함께 협력하여 기술 혁신으로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거대 위험에서 인류를 구하고 세계인의 일부가 아닌 ‘모두를 위한 인류 안보’를 달성하자는 목적이다. 이 개념이 바로 이 시대를 관통하는 시대정신으로서 기술 혁신의 목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식량 위기 해결을 기술 혁신의 목적으로 제시하여 CES 2023의 스타 기업이 된 존 디어에 이어 올해는 대부분의 기조연설과 제품 전시에서 기술의 목적 중심으로의 변화가 핵심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개막식에 이어 열린 프랑스의 세계적 화장품 기업 로레알의 기조연설도 좋은 사례다. 화장품 기업으로는 최초로 CES에서 기조연설을 한 로레알은 제품이나 기술을 앞세우지 않고 인류의 기본 욕구인 아름다움을 통해 인류에 행복과 자신감을 제시하고 환경 및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기업임을 강조하여 갈채를 받았다. 역시 기술 중심에서 기술의 목적 중심으로의 관점 변화를 제시한 것이다. 이렇게 기술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이를 이루기 위한 혁신적 뷰티 기술을 하나씩 발표하여 제품 중심의 경쟁사들과 확실한 차별화를 시도했다. 구체적으로 ‘뷰티 지니어스’라 불리는 생성형 AI 기반의 뷰티 비서 등 AI 기술로 ‘디지털 퍼스트 기업’ 구현을 제시하고, ‘모두를 위한 아름다움’이라는 환경 및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는 혁신적 뷰티 기술을 파트너 기업과 함께 하나씩 발표하여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를 통해 로레알을 경쟁사보다 한 차원 높은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세계적 유통 기업인 월마트의 기조연설도 역시 같은 맥락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우리나라의 이마트가 쿠팡, 알리, 테무 등 국내외 온라인 유통기업과의 경쟁에서 고전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월마트는 아마존과의 경쟁에서 당당히 선전하고 있다. 월마트 역시 제품 및 기술 혁신에 앞서 그 목적으로 ‘사람이 주도하는 기술 기반 온·오프 옴니채널 소매유통 기업으로서 사람들이 돈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는 데 헌신하는 기업’이라고 회사의 미션을 정의했다. 이 미션 및 목적을 이루기 위해 생성형 AI 기반의 검색 및 추천,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기반의 소셜 커머스, 드론 배송, AI 기반 업무 혁신 등 혁신 기술로 ‘적응형(Adaptive) 리테일’이라 불리는 온·오프 경계 없는 개인 맞춤형 유통을 추구하고 있다. 이마트가 잘 참조해야 할 사례다.
 
올해 CES의 여러 기조연설에서 파트너사로 출연하여 CES 2024의 ‘소리 없는 승자’라는 평가를 받은 마이크로소프트도 시가총액 세계 1위 기업 탈환의 비결로 목적 및 미션 중심으로의 변화를 제시했다. 회사의 핵심가치를 과거 ‘모든 사무실과 가정의 PC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는 제품 및 기술 중심에서 ‘모든 사람과 조직이 더 많은 성취를 할 수 있게 한다’는 목적 및 미션 중심으로 바꾼 것이 바로 이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존 디어, 로레알, 월마트,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적 기업들은 시대정신을 바탕으로 기술 중심에서 기술의 목적 중심으로 관점 및 패러다임을 전환하며 기업의 업(業)을 시대정신의 변화에 따라 재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이 변화는 우리 기업과 정부에도 중대한 교훈을 제시한다. 아직 대체로 업(業)을 제품 및 기술 중심으로 정의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도 하루빨리 목적, 미션, 사람 중심으로 재정의하며 기업 전략을 바꿔야 할 때다. 정부 및 기업의 R&D(연구개발)도 세계적 추세에 맞춰 기술 중심에서 목적 및 미션 중심으로 확대해야 함은 물론이다. 변화해야 산다.
 
주영섭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특임교수, 前 중소기업청장
 


주영섭 필자 주요 이력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 산업공학박사 △현대오토넷 대표이사 사장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전 중소기업청장 △한국디지털혁신협회 회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