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용 무선전력전송 융합기술 상용화 기반 조성 사업'에 대구시 선정

  • 130억원 투입, 대구 테크노폴리스 내 실환경 테스트베드 조성

대구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공고한 ‘대규모 시설용 무선전력전송 융합기술 상용화 기반 조성’ 사업에 최종 선정되어 테스트베드 조감도이다 사진대구시
대구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공고한 ‘대규모 시설용 무선전력전송 융합기술 상용화 기반 조성’ 사업에 최종 선정되어 테스트베드 조감도이다. [사진=대구시]

대구광역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전파진흥협회)에서 공고한 ‘대규모 시설용 무선전력전송 융합기술 상용화 기반 조성’ 사업에 지난 3월 28일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전기차, 로봇 등 급증하는 전기동력 기반 제품을 위한 무선전력전송 실증 및 상용화 기반 조성을 통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월 공고했다.
 
대구광역시는 3월 28일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2026년까지 3년간 총 130억원(국비 55억원, 시비 25억원, 민자 50억원)을 투입해 사업 주관기관인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첨단정보통신융합산업기술원)과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 사업으로 대규모 시설에서 활용 가능한 중·대출력 무선전력전송 부품·제품을 실제 운용환경에서 실증이 가능한 테스트베드를 대구시 달성군 용리 897에 있는 대구 테크노폴리스에 부지 1만2896㎡, 연면적 1200㎡ 규모로 구축한다.
 
실내 밀집 충전, 옥외 주차장 충전, 이동형·벽면형·연속 매립형 등 다양한 시험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기업이 개발한 제품을 시험 및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중출력(로봇, 카트 등) 및 대출력(전기차 등) 무선전력 전송 송·수신 부품·제품의 핵심 요소기술 개발 지원과 무선 충전 표준모델을 개발해 국내 무선충전 제도 정비 및 국내외 표준화를 위한 시험 측정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사업은 대구 테크노폴리스 내에 이미 구축된 전자파 차폐실(30×20×14m)이 있는 대구전파플레이그라운드와 연계해 기업들이 자유롭고 효율적으로 제품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운백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최근 무선전력전송 시장이 초기 단계에서 급성장하고 있다”라며 “대구시는 이번 사업을 기반으로 관련 기술 개발 및 표준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 대구 미래 신산업을 더욱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