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은 지난 2일 개최된 신속시범사업추진위원회를 통해 신속시범사업 3건을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신속시범사업은 신기술을 적용해 2년 내 시제품을 신속히 연구·개발하고 군 활용성을 확인하는 사업이다.
방사청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해군의 '구조함 탑재 한국형 수중무인탐사기'를 포함해 육군의 '여단급 이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통신체계', 해병대의 '지능형 40mm 무인방공시스템' 등 3건이다.
해군은 현재 오래된 수입산 수중무인탐사기를 사용하고 있는 탓에 운용과 정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 해양 환경에 적합한 수중무인탐사기를 해군 구조함에 탑재한다면 향후 수중탐사와 수색, 인양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는 여단급 이하에서 사용하는 소형 드론·로봇 등 무인체계와 열상감시장비(TOD)가 촬영한 영상을 스마트폰 등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사업이다. 체계가 잘 구축된다면 지휘관은 작전 현장을 생생하게 확인하면서 지휘할 수 있다. 유·무인 복합체계를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하게 되는 것이다.
지능형 40mm 무인방공시스템은 목표물 탐지, 추적, 격파까지 사격 절차를 자동화하는 사업이다. 기존 유인 방공시스템을 일부 대체한다면 인력 배치를 감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방사청 관계자는 "신속시범사업을 민간 첨단기술의 군 적용을 위한 시범의 장으로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