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노동자의 1인당 실질임금이 또다시 줄면서 약 15년 만에 최장 감소세를 나타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신문)과 교도통신이 8일 보도했다.
이날 일본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2월의 ‘근로통계조사(속보치)’에 따르면 5인 이상 사업체에서 근무하는 노동자의 물가 변동을 고려한 실질임금은 전년 같은 달보다 1.3% 감소했다. 이는 1월의 전월치(1.1% 감소)보다 낙폭이 한층 확대된 것이기도 하다. 비교 가능한 통계가 있는 1991년 이후 2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리먼 브라더스 사태 전후인 2007년 9월~2009년 7월 이래로 처음이다.
노동자 월급이 23개월 연속으로 오르는 물가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교도통신은 “가계가 2년 가까이 심각한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다.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명목임금을 나타내는 1인당 ‘현금 급여총액’의 경우, 2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1.8% 증가한 28만 2265엔(약 251만 7천원)으로 26개월 연속 증가를 보였다. 하지만 실질임금 산출 시 지표가 되는 물가상승률이 1월보다 0.8포인트 확대되면서 실질임금을 끌어내렸다.
현금급여총액 가운데 기본급에 해당하는 ‘소정내급여’는 2.2% 늘었다. 취업 형태별로는 정규직 근로자 등 ‘일반노동자’가 2% 증가한 36만 616엔(약 321만 5천원), ‘파트타임노동자’가 3.1% 증가한 10만 5268엔(약 93만 9천원)이었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업이 3.9% 증가하면서 가장 많이 상승했고 학술연구(3.8%)와 교육업(3.5%)이 그 뒤를 이었다.
일본 정부는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탈피를 위해 임금 인상을 기업에 독려해 왔고, 대기업을 중심으로 노동조합 요구를 반영해 큰 폭의 임금 인상을 결정했다. 일본 최대 노동조합 조직 '렌고'(連合·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는 지난 4일 봄철 임금 협상인 '춘투'(春鬪)를 통한 평균 임금인상률이 5.24%로 중간 집계됐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오는 7월로 예정된 렌고의 최종 집계에서도 임금 인상률이 5%대를 유지할 경우, 5.66%를 기록했던 1991년 이후 33년 만에 처음으로 5%를 웃돌게 된다.
문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움직임이 중소기업과 비정규직으로까지 확대될지 여부다. 실제 도쿄의 한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50대 여성은 “뉴스와 신문에서는 이번 춘투를 크게 보도했지만 지금까지 우리 회사에서는 그 어떤 이야기도 나오지 않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춘투 결과를 바탕으로 임금을 올리는 중소기업들도 적지 않다. 또한 춘투 결과는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정해진 최저임금 심의에도 참고가 되는 만큼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에도 파급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올해 춘투 결과는 3월 이후 실질임금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중소기업 임금 인상 확산 움직임, 물가 동향이 초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