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5G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 비중은 전체에서 31.3%를 차지했다. 2022년 6월 46%와 비교해 14.7%포인트(p)나 감소한 수준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 추진현황·향후계획' 자료를 보면, 올 2월 현재 이통 3사 중저가 요금제를 선택한 이용자는 621만명을 돌파해 5G 전체 가입자의 19%를 넘어섰다. 과기정통부는 장기적으로 1400만명 이상 국민에게 연간 5300억원 수준의 가계통신비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현상은 생활물가 상승과 정부의 국민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이 맞물려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이통 3사가 데이터 중간 구간(20~100기가바이트·GB)을 신설하고, 월 4만원대 중후반이었던 5G 요금 최저구간을 최대 1만원 낮추도록 독려해 왔다. 고물가 시대에 가계통신비를 줄여 이용자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취지다.
정부 기대만큼 중저가 요금제 인기는 당분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나온다. 통신업계에는 이른바 '중저가 요금제' 전쟁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정부 기조에 따라 이통 3사는 지난달부터 3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번호이동 전환지원금은 최대 50만원대로 올렸다. 정부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통신비 인하가 필요하다며 요금제 인하와 지원금 확대를 꾸준히 요청해서다.
알뜰폰업계는 최근 월 110원짜리 저가 요금제까지 선보이며 생존에 사활을 거는 모습이다. 중저가 요금제 구간은 확대된 데다 돈까지 풀어내는 이통 3사와의 가입자 유치 경쟁을 하려면 출혈은 감내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통 3사도 웃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가입자가 중저가 요금제로 몰릴수록 무선 수익 상당수를 차지하는 5G 매출 감소가 불가피해서다. 5G 고가 요금제 가입자가 중저가로 변경하는 만큼, 수익성은 나빠질 수밖에 없다. 이런 경향이 확대할수록 5G 인프라 구축에 들인 초기비용을 회수하는 속도 또한 느려진다.
한 통신 업체 관계자는 "다른 통신사나 알뜰폰 고객이 우리 회사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지만, 이 또한 사실상 출혈 경쟁의 결과물이라 기대가 크지는 않다"며 "5G 수익성 기대가 점차 낮아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