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 2020년 6㎓ 대역 1200메가헤르츠(㎒) 폭(5925~7125㎒)을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비면허 용도로 공급함으로써 와이파이 6E 상용화를 지원한 바 있다. 실제로 2021년 이후 국내에 출시된 주요 스마트폰은 와이파이 6E를 지원하고 있다. 다만 와이파이 6E 활용을 위해 공급이 필요한 6㎓ 대역은 기존에는 고정‧이동 방송중계용으로 사용됨에 따라 혼‧간섭 방지를 위해 이를 재배치할 필요가 있었으며, 재배치를 위해 방송국에 대한 손실보상도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2020년 12월부터 방송사와 협력해 고정‧이동 방송중계 주파수 재배치를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2024년 3월까지 3단계에 걸쳐 총 184개국의 이동·고정 방송중계용 무선국의 주파수를 회수‧재배치했으며, 현장실사를 통해 이행여부 확인 후 올 3월 총 140억원의 손실보상금을 지급 완료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동 대역에서 차세대 와이파이7 도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와이파이7은 와이파이 6E 등 기존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하지만 와이파이 6E 대비 채널 대역폭 2배 확대, 변조·스트리밍 방식 개선, 멀티 링크 오퍼레이션(MLO) 도입 등으로 속도가 와이파이 6·6E 대비 최대 4.8배 향상될 수 있는 표준이다. 이에 과기 정통부는 와이파이7 표준안에 부합하도록 채널당 대역폭을 기존 160㎒에서 320㎒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기술기준(고시)을 올해 상반기까지 개정할 계획이다.
최병택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와이파이는 국민들이 일상에서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필수재임은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영역으로 확산돼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국민들과 산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부는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와이파이 성능 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