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는 29일 외동에 소재한 경주 e-모빌리티 연구단지 내에서 탄소 소재 부품 리사이클링센터(이하 '센터') 준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준공식에는 주낙영 경주시장,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한 이철우 경주시의회 의장 및 자동차 부품 업체 임‧직원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센터는 지난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 분야 기반구축 공모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193억원의 예산을 들여 부지 면적 4305㎡, 연면적 2226㎡, 지상 2층 연구동과 지상 1층 시험동 규모로 건립됐다.
반면 자연에서 분해가 불가능한 소재이며 현재 유럽연합, 미국 등에서는 모든 플라스틱 제품 생산 시 재활용 플라스틱의 의무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시는 센터 건립으로 탄소 복합재 연구를 통해 기술 개발 단계부터 제품화까지 체계적인 지원에 주력한다.
특히 친환경 미래 자동차 소재인 탄소 복합재의 선별에서 분쇄, 열분해, 성형 등 시생산 장비 6종을 구축해 재활용 기술을 연구하고 재제조 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전기 펄스 시험기, 층간전단강도 시험기 등 8종의 분석 장비를 도입해 시작품 제작과 시험 평가, 인증까지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
또 탄소 복합재 리사이클링 전문 인력 양성을 비롯해 품질 고도화 기술 세미나 개최 등 기술‧사업화 지원에도 앞장선다.
향후 센터는 부품소재산업 특화 전문 연구 기관인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에서 운영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최근 정부가 탄소 복합재를 제2의 철강 산업으로 육성‧발표함에 따라 관련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며, “경주시도 연구 인프라를 활용한 기술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해 세계 시장에서 친환경 무역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탄소 소재 부품의 재활용, 재제조 분야의 선두 주자가 될 수 있도록 센터 역량 강화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2월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통합관제 허브센터가 준공되면 경주 e-모빌리티 연구단지는 미래 성장형 연구 환경은 물론 투자와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한 산업 기술 집적 R&D단지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