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회장은 이날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첫 이사회 회의와 취임식을 진행했다. 그는 이날 취임사에서 "오늘부터 시작되는 3년의 임기 동안 회원들의 권익 보호가 저에게 부여된 지상 최대의 과제"라며 "어떤 상황에서도 회원들의 '의권'을 지키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우리가 갈등 속에 빠지고 분열되는 것을 우리가 상대하고 있는 정부가 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범의료계 협의체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범의료계 협의체는 의협을 주축으로 의학회, 의대 교수, 전공의, 의대생으로 구성된 협의체다. 정부와의 일대일 대화를 언제든지 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의협은 24일 전공의들과 학생들이 배제된 대화에는 참여할 생각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범의료계 협의체가 정부와의 대화창구로 활용될진 미지수다. 정부와 의협 모두 일대일 대화 자체엔 긍정적이지만 의협이 여전히 대화 조건으로 '의대 증원 백지화'를 내세우고 있어서다. 정부는 의대 증원 백지화와 1년 유예를 받아들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9일 "의대 증원 백지화, 1년 유예 등 여러 조건을 달며 대화를 회피하기보다 정부의 진의를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주시라"고 말했다.
임 회장은 법제이사를 기존 2명에서 4명으로 확대했다. 그는 "의료 현장에서 발생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각종 법률적 민생 현안에 대해 체계적이고 확실한 운영 시스템을 가동할 것"이라고 했다. 현재 임 회장을 포함한 의협의 전·현직 간부 인사들은 전공의 집단행동을 교사했다는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법제이사 확충은 의료 현장에서의 소송 외 현장을 떠난 전공의와 '주 1회 휴진'에 나선 의대 교수들의 사법 리스크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부가 전공의와 교수를 처벌하기보단 대화를 통해 설득하겠다고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다만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의 대화 조건도 의대증원 백지화인 만큼 대화가 이뤄지지 않을 시 정부가 강경 대응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편 정부는 이날부터 전공의들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관을 모집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전공의의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수련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며 "전공의들은 집단행동을 풀고 수련현장으로 돌아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어 의사단체를 향해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꼭 참여하고 전향적인 자세로 대화에 임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