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봄'을 맞은 삼성전자에 호재가 이어질 전망이다. 업황 회복으로 메모리 사업의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확산 등에 따른 PC·모바일 수요 견조세가 기대되고 있어서다. 여기에 닌텐도가 9년 만에 발표할 '닌텐도 스위치' 후속작에 삼성 제품이 탑재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닌텐도는 지난 7일 소셜미디어에 게시한 후루카와 슌타로 대표 명의의 메시지에서 "2015년 3월 닌텐도 스위치의 존재를 공표한 이래 9년 만에 스위치의 후계 기종을 이번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중 발표한다"고 밝혔다. 닌텐도가 스위치 후속 제품의 출시 시기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닌텐도 스위치는 2016년 10월 처음으로 정식 공개된 후 2017년 3월 일본·북미·유럽 시장 등에 출시된 바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스위치2'도 올해 하반기 발표 후 내년 상반기 출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스위치2에는 삼성의 메모리 칩이 탑재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미국 IT 전문 매체 샘모바일은 "스위치2에는 삼성의 5세대 V-낸드플래시 메모리가 탑재될 것"이라며 "이 칩은 최대 1.4GB/s의 속도를 제공해 현재 스위치 모델에 비해 상당한 업그레이드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패널은 LCD 탑재가 유력해 보이지만, 전작처럼 추후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를 채택한 제품을 내놓을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반도체 '업턴(상승 국면)'을 맞은 삼성전자는 닌텐도의 차기작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실적 반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닌텐도 스위치가 누적 1억3000만대 이상 팔린 것을 감안하면 차기작인 스위치2도 연 1000만대 이상 판매가 기대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사업에서만 14조8795억원의 적자를 냈지만 올해 1분기 만에 1조9100억원의 이익을 내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DDR5 △서버SSD △UFS4.0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에 대응하며 질적 성장을 실현한 결과다. 삼성전자는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물량 기반의 경쟁을 지양하겠다는 뜻을 확실히 했다.
삼성전자는 하반기에도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메모리 수요 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HBM은 생산능력(CAPA) 확대와 함께 공급을 지속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고용량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세에 맞춰 업계 최초로 개발한 HBM3E 12단 제품의 램프업도 가속화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닌텐도는 지난 7일 소셜미디어에 게시한 후루카와 슌타로 대표 명의의 메시지에서 "2015년 3월 닌텐도 스위치의 존재를 공표한 이래 9년 만에 스위치의 후계 기종을 이번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중 발표한다"고 밝혔다. 닌텐도가 스위치 후속 제품의 출시 시기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닌텐도 스위치는 2016년 10월 처음으로 정식 공개된 후 2017년 3월 일본·북미·유럽 시장 등에 출시된 바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스위치2'도 올해 하반기 발표 후 내년 상반기 출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스위치2에는 삼성의 메모리 칩이 탑재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미국 IT 전문 매체 샘모바일은 "스위치2에는 삼성의 5세대 V-낸드플래시 메모리가 탑재될 것"이라며 "이 칩은 최대 1.4GB/s의 속도를 제공해 현재 스위치 모델에 비해 상당한 업그레이드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반도체 '업턴(상승 국면)'을 맞은 삼성전자는 닌텐도의 차기작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실적 반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닌텐도 스위치가 누적 1억3000만대 이상 팔린 것을 감안하면 차기작인 스위치2도 연 1000만대 이상 판매가 기대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사업에서만 14조8795억원의 적자를 냈지만 올해 1분기 만에 1조9100억원의 이익을 내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DDR5 △서버SSD △UFS4.0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에 대응하며 질적 성장을 실현한 결과다. 삼성전자는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물량 기반의 경쟁을 지양하겠다는 뜻을 확실히 했다.
삼성전자는 하반기에도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메모리 수요 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HBM은 생산능력(CAPA) 확대와 함께 공급을 지속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고용량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세에 맞춰 업계 최초로 개발한 HBM3E 12단 제품의 램프업도 가속화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