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647988654.jpg)
![아주경제 2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710754040.jpg)
![아주경제 3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735998797.jpg)
![아주경제 22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758930971.jpg)
![아주경제 23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818365334.jpg)
![조선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838621096.jpg)
![중앙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859284983.jpg)
![동아일보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921869160.jpg)
![매일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944382241.jpg)
![한국경제 1면](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80008281669.jpg)
![신문으로 보는 오늘의 대한민국 2024년 5월 16일자](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16/20240516075558867600.pn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중소기업계가 현실을 외면한 법률에 멍들고 있다.
중처법 유예 요원, 주 4일제 검토, 21대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폐기된 노란봉투법이 재점화된 이유다.
지난 1월 27일부터 50인 미만 사업장까지 확대된 중처법 유예는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해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법인의 처벌 등을 규정한 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