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기업들은 경제적 상호 이익 도모와 동북아 평화를 위해 3국 간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본과 중국 기업들은 우선 협력 대상국으로 모두 한국 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중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경제 현안에 대해 공동 설문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한·일·중 정상회의(5월 26~27일)를 앞두고 3국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2022년 기준, 한국 100개, 일본 107개, 중국 111개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일·중 경제협력 등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 일본과 중국 기업들은 한국 기업과 협력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10점 척도를 기준으로 상대국 기업과 협력할 의향을 조사한 결과 △일본 기업은 중국 기업(평균 4.7점)보다 한국 기업(5.2점)과, △중국 기업 역시 일본 기업(6.5점)보다 한국 기업(7.1점)과 협력하는 것을 선호했다. 한국 기업은 양국 기업 간 협력 의향이 비슷한 수준(일본 기업 6.3점, 중국 기업 6.1점)이었다.
3국 간 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한국 기업 75.0%, 일본 기업 46.7%, 중국 기업 45.0% 순으로 한국 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 개선이 필요한 주요 이유로 한국 기업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49.3%) △공급망 안정(26.7%)을 꼽았다. 반면 중국과 일본 기업은 동북아 안보와 평화(일본 40.0%, 중국 44.0%)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일본 32.0%, 중국 30.0%)보다 응답 비중이 높았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 일본 기업은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25.5%)를 1순위로 택했다. 이어 2순위는 원자력·수소·신재생 에너지 분야(17.0%)였다.
세계적 추세인 3고(고금리·고환율·고물가)에 따른 원자재 가격 불안정은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가장 큰 현안(한국 38.0%, 일본 35.0%)으로 지적됐다. 중국 기업들은 국내 경기 침체로 인한 경제 성장동력 약화를 최대 경제 현안(42.3%)으로 꼽았다.
또 한국과 중국 기업은 세계경제 저성장에 따른 수요 감소를 수출 리스크 1순위(한국 34.0%, 중국 29.7%)라고 우려했으며, 일본 기업은 공급망 불안정(30.8%, 1순위) 때문에 수출이 불투명하다고 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일·중은 주요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많은 기업을 보유한 국가들로 관계 개선 시 기술 협력 등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며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3국 경제계 간 협력이 강화되어 동북아 번영을 이루는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한·일·중 정상회의(5월 26~27일)를 앞두고 3국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2022년 기준, 한국 100개, 일본 107개, 중국 111개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일·중 경제협력 등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 일본과 중국 기업들은 한국 기업과 협력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10점 척도를 기준으로 상대국 기업과 협력할 의향을 조사한 결과 △일본 기업은 중국 기업(평균 4.7점)보다 한국 기업(5.2점)과, △중국 기업 역시 일본 기업(6.5점)보다 한국 기업(7.1점)과 협력하는 것을 선호했다. 한국 기업은 양국 기업 간 협력 의향이 비슷한 수준(일본 기업 6.3점, 중국 기업 6.1점)이었다.
3국 간 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한국 기업 75.0%, 일본 기업 46.7%, 중국 기업 45.0% 순으로 한국 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 일본 기업은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25.5%)를 1순위로 택했다. 이어 2순위는 원자력·수소·신재생 에너지 분야(17.0%)였다.
세계적 추세인 3고(고금리·고환율·고물가)에 따른 원자재 가격 불안정은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가장 큰 현안(한국 38.0%, 일본 35.0%)으로 지적됐다. 중국 기업들은 국내 경기 침체로 인한 경제 성장동력 약화를 최대 경제 현안(42.3%)으로 꼽았다.
또 한국과 중국 기업은 세계경제 저성장에 따른 수요 감소를 수출 리스크 1순위(한국 34.0%, 중국 29.7%)라고 우려했으며, 일본 기업은 공급망 불안정(30.8%, 1순위) 때문에 수출이 불투명하다고 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일·중은 주요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많은 기업을 보유한 국가들로 관계 개선 시 기술 협력 등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며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3국 경제계 간 협력이 강화되어 동북아 번영을 이루는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5/20/20240520090641978683.pn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