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소유 주택 9만 가구 넘었다…중국인이 55%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동 기자
입력 2024-05-31 08:13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지난해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이 9만 가구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소유한 토지 역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은 9만1453가구, 주택 소유 외국인은 8만9784명으로 집계됐다.

  • 글자크기 설정
사진국토교통부
[사진=국토교통부]

지난해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이 9만 가구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소유한 토지 역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은 9만1453가구, 주택 소유 외국인은 8만978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주택(1895만 가구)의 0.48% 수준으로, 가구 수는 지난해 상반기 8만7223가구 대비 4.85% 늘었고, 소유자 수 역시 같은 기간 8만5358명 대비 5.19% 늘었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이 전체주택 기준 5만328가구(5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미국 2만947가구(22.9%), 캐나다 6089가구(6.7%)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외국인 소유 주택은 수도권에 6만6797가구(73%), 지방에 2만4656가구(27%)가 분포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도별로는 경기 3만5126가구(38.4%), 서울 2만2684가구(24.8%), 인천 8987가구(9.8%), 충남 5351가구(5.9%), 부산 2947가구(3.2%) 순으로 많았다.

전체 외국인 소유 주택 중 공동주택은 8만3313가구(아파트 5만5188가구, 연립·다세대 2만8125가구)였으며, 단독주택은 8140가구로 집계됐다.

소유주택수별로 보면 1주택자가 8만3895명(93.4%)으로 대다수였고, 2채 소유자는 4668명(5.2%), 3채 이상 소유자는 1221명(1.4%)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2억6460만1000㎡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국토면적(1004억4935만6000㎡)의 0.26% 수준으로, 지난해(2억6401만㎡) 대비 0.2%(591가구) 증가했다.

외국인 보유 토지의 공시지가는 총 33조288억원으로 지난 2022년 말(32조8867억원) 대비 0.4%(1421억원) 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외국인 국내 토지보유 면적은 2014~2015년 사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6년부터 증가폭이 둔화된 후 현재까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올해에도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와 거래신고 정보를 연계해 불법행위가 의심되는 이상거래를 조사(6~11월)하는 등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거래를 지속적으로 엄격하게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