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 가계·기업대출이 한 달새 10조원가량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매매가 살아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늘었고, 수익성 확대 차원에서 은행들이 기업대출 공급을 늘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와 물가 불안 등이 겹치며 고금리 장기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빠르게 불어난 기업대출 부실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02조7020억원으로 4월 말(698조30억원) 대비 4조6990억원 늘었다. 증가 폭도 전월(4조4346억원) 대비 커졌고 2021년 7월(6조2009억원)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 3월 2조2238억원 줄어든 뒤 4월과 5월 두 달 연속 해당 수치가 늘었다.
금융권은 가계대출이 불어난 배경으로 주택 매매 증가세를 꼽고 있다. 한국부동산원는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가 △지난해 12월 2만6934가구 △올해 1월 3만2111가구 △2월 3만3333가구 △3월 4만233가구 △4월 4만4119가구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영향으로 가계대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45조6111억원을 기록해 전월 대비 4조6208억원 늘었다.
여기에 지난 4월부터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이 은행 재원으로 상당 부분 공급되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디딤돌(구입)·버팀목(전세) 등 주택도시기금 정책대출은 운영 초기 정부 재원으로 공급돼 은행 가계대출 실적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이 재원이 소진되면 은행 재원으로 대출이 이뤄진다.
아울러 지난달 은행들이 수익성 확대를 위해 기업대출 공급을 늘리면서 관련 잔액 증가세도 이어졌다. 지난달 기준 5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802조1847억원으로 4월 말(796조455억원) 대비 6조1392억원 늘었다. 지난해 12월 일시적으로 1조6109억원 감소한 이후 5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올해에만 34조8708억원 불었다.
이에 금융권 부실 우려가 좀처럼 가시지 않는 분위기다. 고금리 장기화로 한계기업과 차주들이 증가하고 있는 데다 특히 정부가 가계대출을 억제하자 은행들이 기업 영업 경쟁에 나서면서 기업대출 풍선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 5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 0.30%에서 올해 1분기 말 0.35%로 뛰었다.
한국은행은 최근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계기업이 부채를 통해 연명하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지 않도록 이들에 대한 과도한 금융 지원을 지양하고 적절한 신용평가 등을 통해 회생 가능성에 기반한 신용 공급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