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협력적이었던 한국·중국 산업계의 분업 구도가 깨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대미‧대중 무역구조 변화의 원인과 우려 요인 점검’ 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IBK경제연구소는 중국 시장에서 한국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은 중국 산업계가 한국에서 수입하던 중간재를 자국산 제품으로 대체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중간재 수출과 중국 가공무역의 상호 협력적이었던 분업 구도가 경쟁 구도로 재편됐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중국의 기술 수준이 향상되면서 한국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이차전지 등 업계가 중국산 소재·부품·장비에 상당 부분 의존하는 상황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중 수출 품목을 다양화하고 중국 의존적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IBK경제연구소는 또 기술 초격차를 통해 미래 성장산업을 선점하는 등 새로운 성장전략으로 빠르게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도 조언했다.
전체 교역에서 미국이 흑자 규모 1위 국가에 오른 것과 관련해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직접 효과 △미·중 갈등 반사이익과 한류 등 간접효과 △미국경제 호조에 따른 소득효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미국이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하면서 무역장벽을 높일 가능성이 크고, 자동차·이차전지·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별로 여러 위험 요소가 있다는 게 IBK경제연구소 측의 시각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정부 정책과 중소기업 대응 역량 강화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김규섭 IBK경제연구소장은 “중국 수출은 줄고, 미국 수출은 현지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의 부품 공급망이 현지 기업으로 대체되고 있어 국내 중소기업이 이중고에 처해 있다”며 “보고서가 수출 중소기업 지원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대미‧대중 무역구조 변화의 원인과 우려 요인 점검’ 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IBK경제연구소는 중국 시장에서 한국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은 중국 산업계가 한국에서 수입하던 중간재를 자국산 제품으로 대체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중간재 수출과 중국 가공무역의 상호 협력적이었던 분업 구도가 경쟁 구도로 재편됐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중국의 기술 수준이 향상되면서 한국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이차전지 등 업계가 중국산 소재·부품·장비에 상당 부분 의존하는 상황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대중 수출 품목을 다양화하고 중국 의존적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체 교역에서 미국이 흑자 규모 1위 국가에 오른 것과 관련해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직접 효과 △미·중 갈등 반사이익과 한류 등 간접효과 △미국경제 호조에 따른 소득효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미국이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하면서 무역장벽을 높일 가능성이 크고, 자동차·이차전지·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별로 여러 위험 요소가 있다는 게 IBK경제연구소 측의 시각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정부 정책과 중소기업 대응 역량 강화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김규섭 IBK경제연구소장은 “중국 수출은 줄고, 미국 수출은 현지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의 부품 공급망이 현지 기업으로 대체되고 있어 국내 중소기업이 이중고에 처해 있다”며 “보고서가 수출 중소기업 지원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