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가 국내 기업들의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이 아프리카와 소비재 제조업과 광물·에너지, ICT 스타트업, 그린 테크놀로지 등 분야에서 협업에 나서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한국경제인협회는 4일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정재욱 교수에게 의뢰한 ‘한-아프리카 신산업 협력분야와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강화를 위해서는 양 지역 간 맞춤형 통상협력 세분화와 아프리카 투자·진출 지원 정책금융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높은 성장률로 주목받고 있는 아프리카의 경쟁력은 젊은 인구와 풍부한 자원, 대미·유럽(EU) 시장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 역내 자유무역 등에 있다. 아프리카 인구 수는 14억8000만 명으로 2050년에는 25억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아프리카는 전기차 배터리 등의 친환경 산업의 핵심 원료로 꼽히는 리튬, 코발트 등의 핵심 자원 또한 풍부하다.
아프리카의 높은 성장세에도 한국과 아프리카의 협력은 저조하다. 한국의 교역규모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1.3%에 불과하다. 한국의 세계 직접투자 규모에서도 아프리카 비중은 0.5%에 그친다.
한-아프리카 협력 확대를 위해 맞춤형 통상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경제동반자협정(EPA)는 일반적인 자유무역협정(FTA)과 달리 국가 간 무역장벽 해소뿐만 아니라 상대국에 대한 개발지원, 기술이전 등의 종합적인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아프리카 통상협력의 현실적인 방안으로 제시됐다.
국내 기업들의 아프리카 투자 및 진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진출 기업을 위한 정책금융도 필요하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OECD 정책금융 지원가능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신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기업대출 및 정책금융 지원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다. 2022년 기준 수출입은행의 수출신용 총지급액 중 아프리카 비중은 2.8%, EDCF 지급액 중 비중은 27.9% 수준이며 K-Sure(무역보험공사)의 단기수출보험 지원액 중 아프리카 비중은 6.7%를 기록하고 있다.
금융 지원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제개발금융기관 및 다자개발은행의 재원을 활용하는 경험 축적과 함께 향후 기업과 정책금융기관이 국제개발금융기관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을 개발해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아프리카와 한국 간의 협력 필요성이 더욱 높아진 만큼 한국 기업은 전통적인 광물·에너지 등 자원분야 뿐만 아니라 ICT·그린산업 등 신산업 분야 진출 확대를 통해 아프리카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4일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정재욱 교수에게 의뢰한 ‘한-아프리카 신산업 협력분야와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강화를 위해서는 양 지역 간 맞춤형 통상협력 세분화와 아프리카 투자·진출 지원 정책금융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높은 성장률로 주목받고 있는 아프리카의 경쟁력은 젊은 인구와 풍부한 자원, 대미·유럽(EU) 시장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 역내 자유무역 등에 있다. 아프리카 인구 수는 14억8000만 명으로 2050년에는 25억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아프리카는 전기차 배터리 등의 친환경 산업의 핵심 원료로 꼽히는 리튬, 코발트 등의 핵심 자원 또한 풍부하다.
한-아프리카 협력 확대를 위해 맞춤형 통상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경제동반자협정(EPA)는 일반적인 자유무역협정(FTA)과 달리 국가 간 무역장벽 해소뿐만 아니라 상대국에 대한 개발지원, 기술이전 등의 종합적인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어 아프리카 통상협력의 현실적인 방안으로 제시됐다.
국내 기업들의 아프리카 투자 및 진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진출 기업을 위한 정책금융도 필요하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OECD 정책금융 지원가능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신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기업대출 및 정책금융 지원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다. 2022년 기준 수출입은행의 수출신용 총지급액 중 아프리카 비중은 2.8%, EDCF 지급액 중 비중은 27.9% 수준이며 K-Sure(무역보험공사)의 단기수출보험 지원액 중 아프리카 비중은 6.7%를 기록하고 있다.
금융 지원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제개발금융기관 및 다자개발은행의 재원을 활용하는 경험 축적과 함께 향후 기업과 정책금융기관이 국제개발금융기관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을 개발해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아프리카와 한국 간의 협력 필요성이 더욱 높아진 만큼 한국 기업은 전통적인 광물·에너지 등 자원분야 뿐만 아니라 ICT·그린산업 등 신산업 분야 진출 확대를 통해 아프리카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