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 군곡리 패총에서 배모양 토제품과 아궁이 모형이 출토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해남군은 국가유산청의 지원을 받아 국가유산(사적) 군곡리 패총에 대한 9차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9차 발굴에서는 구릉 동쪽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청동기시대-철기시대-삼국시대층이 순차적으로 이루고 있는 패각층을 확인했다. 특히 철기시대 지층에서는 아궁이와 배모양 토제품이 출토되어 고고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배모양 토제품은 길이 9.3㎝, 너비 3.4㎝, 높이 2.7㎝로 마치 전통배의 구조를 본떠서 만든 소형 토제품이다. 평편한 바닥에 선수와 선미가 쉽게 구별되는 형태로 토제품 안쪽에 노걸이와 돛 등이 설치하는 구멍이 확인되어 실제 배 모양과 흡사하게 만들어졌다.
구조와 형태로 보아 실제로 사용하였다기보다는 당시 고대인들의 부뚜막에 대한 신앙적인 의례용품으로 해석된다.
토제품의 경우 실물을 본떠 만든다는 점에서 당시 고대인들의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배모양 토제품은 군곡리 일원이 당시에는 항구도시일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해지며, 유적 주변에 접안시설이 있을 가능성도 높아졌다.
발굴조사를 맡고 있는 국립목포대학교 김건수 박물관장은“지금까지 조사 결과들을 종합하면 해남 군곡리 패총의 구릉 정상부는 광장과 의례 공간을 중앙에 두고 그 주변으로 주거지를 비롯한 각종 생활 모습이 갖추어진 곳으로, 매우 복합적인 마을의 모습을 보여준다”며“오랫동안 형성된 패총의 흔적을 통해,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지속적으로 백포만 일대가 생활중심지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남 군곡리 패총은 기원전 2세기~기원후 5세기에 걸쳐 형성된 유적지로, 중국 신나라-한반도-일본열도로 연결되는 해양 교류의 국제 무역항으로서 유적의 가치와 성격 규명을 위한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구릉 정상부를 에워싸는 패각층의 규모는 현재까지 국내에 알려진 다른 패총 유적들과 비교할 때 최대급에 속한다. 중국 신나라(8~23년) 동전(貨泉) 뿐만 아니라 중국․한반도․일본열도와의 교류를 보여주는 외래 유물들이 다수 출토되어 해남 백포만 일대가 고대 국제무역항이었음을 알려주는 지표가 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그 동안 해남 군곡리 패총 발굴조사를 통하여 발견된 유물만으로도 해남 백포만 일대가 고대 무역항으로서 동북아시아 지역들과 해양 교류를 잘 보여주는 해상 무역기지로 평가를 받아 왔지만,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패각층과 출토된 유물을 통해 더욱 확실하게 뒷받침 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했다.
한편 해남군은 이번 9차 발굴조사와 관련해 오는 4~5일 발굴조사 현장에서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