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수원시(시장 이재준)가 기업, 대학과 협력해 ‘스마트도시 수원’을 조성한다.
시는 4일 시청 상황실에서 ㈜디케이테크인, 라구나인베스트먼트, 에스케이텔레콤㈜, ㈜케이티, ㈜제일엔지니어링, 성균관대학교, 아주대학교 등 7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포괄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협약 기관들은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구축하는데 협력한다. 또 시가 국가 공모사업에 참여하면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주요 협력 사항은 △시민 삶의 질 향상에 부합하는 스마트서비스 제안 △신규 스마트서비스 구축 시 요구되는 비용 절감 지원 △기존 스마트서비스 유지관리 시 필요한 비용절감 지원 △스마트도시 수원을 조성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 개선사항 제안 등이다.
또 시가 국가공모사업에 참여하면 계획을 함께 구상하고, 사업을 추진할 때 필요한 공간·인력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재준 시장은 “시와 기업, 대학이 스마트도시 구현에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며 “스마트도시 관련 시설뿐 아니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선.대한제국의 법과 제도가 와해된 상태에서 맞이한 해방 한국의 헌법과 국제법의 조화가 필요합니다.
600년 역사의 성균관(성균관대). 해방후 미군정당시 공자묘 경학원을 성균관으로 개칭하는 성균관 복구령에 따라, 전국 유림대회(고문:이승만,김구, 위원장:김창숙)에서 성균관대 설치(복구설립)를 결의하였음. 미군정당시 성균관장으로 선출된 김창숙 성균관장은, 전국 유림대회 결의에 따라 성균관대를 미군정에 대학기구로 등록(성균관은 제사기구로 분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