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방북이 이른 시일 내에 이뤄질 것으로 확인되면서 24년 만에 그의 방북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북한과 러시아는 군사 협력, 무기 거래 등을 토대로 '신냉전 동맹'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 방북이 확정되면서 국제사회 우려는 커지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2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이 카자흐스탄을 국빈 방문한 기간에 수도 아스타나 현지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푸틴 대통령 방북이 며칠 안으로 다가왔다"고 말했다. 최근 외신 보도 등을 종합할 때 그의 방문은 오는 18∼19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24년 만에 푸틴 대통령 방북이 성사되면 그간 북·러가 보여준 '밀착 행보' 그 이상의 관계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을 국제사회에 과시하는 자리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단순한 양국 고위급들 간 교류가 아닌 최고지도자들이 대면 회담을 통해 협력 심화 의사를 재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북·러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지난해 9월 회담 이후 진행된 분야별 협력 성과를 점검하고 추가 교류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대적으로 국제사회 비난 부담이 작은 경제협력 이야기가 크게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푸틴이 공개적으로 언급한 양국 우주기술 개발 협력 논의도 구체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지난 회담에서 북한 재래식 무기 제공을 중심으로 단순 무기 거래에만 집중했다면 이번 회담에서는 무기 체계 공동 개발 등 '군사 협력 초밀착'에 합의할 가능성도 높다.
과거에 북·러 관계는 동맹 관계였고 북한이 1961년 옛 소련과 '조·소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에 관한 조약'을 맺기도 했다. 하지만 소련이 한국과 수교를 맺으면서 해당 조약은 폐기됐다. 이후 양국은 2000년 '쌍방 중 한 곳에 침략당할 위기가 발생할 경우 (중략) 쌍방은 즉각 접촉한다'는 내용이 담긴 '우호·선린·협조 조약'을 체결했다.
현재 북한과 러시아는 단순히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양측이 접촉하는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군사적 밀착 내용이 담긴 새로운 북·러 조약이 나올 수도 있다는 전망에 대해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국제사회 여론을 고려해 좀 더 신중한 태도를 보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