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식량 다변화 추진..."예년에 없는 밀·보리 작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송윤서 기자
입력 2024-06-16 16:53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북한이 옥수수 비중이 높은 기존 식량 구조의 다변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올해 밀·보리 작황이 전례 없는 성과를 냈다고 주장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6일 "당이 펼친 웅대한 설계도 따라 사회주의 농촌 건설에서 세기적 변혁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나라의 알곡생산구조를 바꾸고 벼와 밀 농사를 강하게 추진할 데 대한 당 정책 관철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가 이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21년 말 개최된 노동당 제8기 4차 전원회의에서 '알곡생산구조' 전환을 선언하며 "인민의 식생활 문화를 흰쌀밥과 밀가루 음식 위주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 글자크기 설정
  • 농촌진흥청 "지난해 북한 밀·보리 생산량, 전년도보다 22.2% 증가"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2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0차 정치국회의를 주재했다고 25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2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0차 정치국회의를 주재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북한이 옥수수 비중이 높은 기존 식량 구조의 다변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올해 밀·보리 작황이 전례 없는 성과를 냈다고 주장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6일 "당이 펼친 웅대한 설계도 따라 사회주의 농촌 건설에서 세기적 변혁이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나라의 알곡생산구조를 바꾸고 벼와 밀 농사를 강하게 추진할 데 대한 당 정책 관철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가 이룩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21년 말 개최된 노동당 제8기 4차 전원회의에서 '알곡생산구조' 전환을 선언하며 "인민의 식생활 문화를 흰쌀밥과 밀가루 음식 위주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기존 북한 주민들의 주식이던 옥수수의 대체 식량으로 밀을 제시한 것이다.

신문은 이어 "올해 전국적으로 지난해보다 1만5000여 정보, 그 전해인 2022년에 비해서는 3만5600여 정보나 더 늘어난 밀, 보리 포전에서 많은 알곡을 증산해 국가알곡생산계획을 훨씬 넘쳐 수행할 것으로 예견된다"고 주장했다. 신문에서 언급된 1정보는 3000평과 같다.

그러면서 "농촌 어디서나 들려오는 예년에 없는 밀, 보리 작황 소식은 당 결정 관철의 뚜렷한 성과를 안고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를 떳떳이 맞이하기 위해 과감히 떨쳐나선 온 나라 인민들에게 필승의 믿음과 낙관을 크게 더해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이 분석한 '2023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추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밀·보리 생산량은 전년도보다 22.2% 증가한 22만톤(t)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밀 농사를 확대하고 나선 이유로는 옥수수보다 밀이 비료가 적게 든다는 점과 이모작이 가능하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수입에 의존해 왔던 밀가루 가격의 폭등, 주민들의 식성 변화 등도 밀 농사 확대 배경으로 꼽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1개의 댓글
0 / 300
  • ㅈㆍㄱ전 라도는북한용과로에팔려가24시간지져주겨야된다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