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강대웅의 정문일침(頂門一鍼)] 김동연의 '확장되는 외연 다져지는 정치입지' 그리고 긍정평가 ···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수원=강대웅 기자
입력 2024-06-20 15:08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에 대한 여론 추이가 꾸준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지난 18일 SNS를 통해 올린 글에서도 김 지사의 이런 전심치지(專心致之: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감)를 읽을 수 있다.

    김 지사는 글에서 "경기도가 걸어오고 앞으로 걸을 발걸음이 대한민국이 걸어갈 큰 걸음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직무수행 긍정평가 전국 1위 등극후 변화

  • 긍정여론 더욱 확산될 예측과 기대  높아

  • 김 지사의 전심치지(專心致之) 진정성 인정

김동연 지사 사진경기도
김동연 지사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에 대한 여론 추이가 꾸준한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런 만큼 외연도 넓어지고 정치적 입지도 다져지는 모습이다. 최근 전국광역단체장 직무수행 긍정 평가에서 처음 1위에 등극하면서 더욱 탄력을 받는 모습이다. 특히 여야 지지층이 대거 혼재된 경기도에서의 긍정 평가 1위에 오르자, 정치권에서조차 예의 주시하며 예사롭게 보지 않고 있다. (2024년 6월18일 자 아주경제 보도)

여론만 그런 것이 아니다. 김 지사 주변에도 사람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정작 김 지사는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대중 여론에 편승한 인기성 행보보다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민생 정치에 흔들림 없이 나서고 있어서다. 지난 18일 SNS를 통해 올린 글에서도 김 지사의 이런 전심치지(專心致之: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감)를 읽을 수 있다. 

김 지사는 글에서 “경기도가 걸어오고 앞으로 걸을 발걸음이 대한민국이 걸어갈 큰 걸음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어 “지난주 남도에 다녀왔다”면서 “우리 사회가 처한 민주주의, 민생, 평화 위기에 대해 안타깝다”고 자신의 견해를 여과없이 밝혔다. 그러면서 “다산의 경세유표를 다시 써 내려 가겠다는 초심, 행동하는 양심이 되겠다는 다짐을 새롭게 해본다”면서 “경기도의 길이 대한민국의 길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다산 정약용 선생과 김재중 전 대통령 정신도 소환했다. 이를 볼때 김 지사가 현 시국을 보는 노심초사(勞心焦思)하며 흔들리지 않는 호연지기(浩然之氣)가 어떠한지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 좌고우면(左顧右眄)하지 않는 이런 김 지사의 진정성 때문에 향후 행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선 8기 '시즌 2'에 해결해야 할 현안들이 산적해 있고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주문들이 늘고 있어서다.

하지만 당장은 민생을 챙기면서 김 지사 최대 역작으로 여기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에 관한 법안 마련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에 대한 실정(失政)과 기성 정치권에 대한 쓴소리의 강도를 높이면서 민주당 주요 이슈에 대한 대립각을 조금 더 날카롭게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추측은 야권인사들 조차 예사롭게 보지 않고 있는 경기도 정무직 인사를 비롯해 항간에서 떠돌고 있는 '비명계' 규합 같은 민감한 이슈에 대한 '정면돌파' 가능성에서 비롯되고 있다. 아무튼 민선 8기 시즌2 출범이 낼모레다. 임기 2년을 남기고 '절반의 성공' 평가를 듣는 김 지사가 '성공의 완성'을 위해 앞으로 임기 내 어떤 역량을 발휘할지 기대가 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