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금융권 횡령만 1804억…환수율 9.7% 그쳐, 올해도 매달 사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수지 기자
입력 2024-06-23 15:12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지난 6년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횡령 사고 금액이 1800억원을 넘겼지만, 환수율이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 신한저축은행(500만원)과 수출입은행(1200만원) 등 2건을 시작으로 총 11건(13억9850만원)의 횡령 사고가 일어났다.

    지난 10일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100억원대 금융사고까지 더하면 올해 횡령 금액은 더 커질 전망이다.

  • 글자크기 설정
  • 은행권, 비중 85%로 횡령액 가장 커…당국, 책무구조도 효과 기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 6년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횡령 사고 금액이 1800억원을 넘겼지만, 환수율이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다음 달 책무구조도를 시행하는 동시에 금융권 조직문화를 개선할 새 감독 수단을 마련해 내부통제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23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 14일까지 약 6년간 발생한 금융권 총 횡령액은 1804억2740만원으로 집계됐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이 1533억2800만원(85%)으로 전체 횡령 규모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문제는 횡령 사고가 발생한 이후 환수된 금액은 175억5660만원으로 환수율이 9.7%에 그쳤다는 점이다. 올해 들어서도 크고 작은 횡령 사고가 매달 발생했다. 올해 1월 신한저축은행(500만원)과 수출입은행(1200만원) 등 2건을 시작으로 총 11건(13억9850만원)의 횡령 사고가 일어났다.
 
지난 10일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100억원대 금융사고까지 더하면 올해 횡령 금액은 더 커질 전망이다. 다만 우리은행은 해당 직원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를 받고 있어 횡령이 아닌 사기로 분류해 사건을 당국에 보고했다.
 
당국은 다음달 책무구조도를 도입해 금융사고를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이복현 금감원장도 책무구조도 관련 “향후 (내부통제) 실패를 좀 더 체계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당국은 금융사의 내부통제 관련 조직문화가 바뀔 수 있도록 새로운 감독 수단을 마련한다. 성과 중심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준법·윤리 의식이 스며들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금감원은 이를 위한 모범관행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